7/24/2012

[더벨]자원개발펀드, SI와 FI 연결 고리는

http://news.mt.co.kr/

[더벨]자원개발펀드, SI와 FI 연결 고리는
[해외자원개발펀드 분석]③SI 단독 투자에 익숙, FI는 원금보장 요구하는 실정
더벨 신민규 기자 |입력 : 2012.07.24 11:52

"A: 원금보장이 되는 구조를 짜 오면 검토해 보겠다.
B: 자원분야는 투자 대상으로 삼기에 위험부담이 큰 것 아닌가."

자원개발 운용사들이 기관투자가들에게 흔히 듣는 말이다. 해외자원개발 펀드가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기관 자금 유치는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전략적 투자자(SI)는 단독 또는 SI간 컨소시엄으로 사업을 구성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재무적 투자자(FI)는 위험부담에 극히 몸을 사리기 때문이다.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과 사뭇 대조적인 현실이다.

◇SI - FI 연결고리 단절

해외자원개발 펀드는 장기간 고위험을 감내할 자금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특히 유동성이 풍부한 중국, 일본 등이 유전지분 가격을 올려버리는 식으로 나오면 경쟁에서 이기기 힘들다. SI 단독 또는 컨소시엄 구성 형태로 투자하던 시절이 지났다는 얘기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의 유동성이 줄어들어 국내사업자의 해외자원개발 투자 적기라는 시각이 있는데 이때 SI와 FI가 협조해 자금력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펀드 기본구조는 SI가 딜을 가져오면 FI가 풍부한 자금력으로 뒤를 받쳐주는 식이 돼야 한다. 하지만 자원개발에 대한 이해가 낮은 FI들은 위험부담 등을 이유로 선뜻 발을 담그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해외자원개발 펀드는 주로 SI가 딜을 가져와서 자산취득계약(offtake, 자원에 투자해서 가질 수 있는 권리)을 맺는 것으로 시작한다. 주요 SI로는 △한국석유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자원 공기업 △SK네트웍스, 대우인터내셔널 등 종합상사 △SK에너지 등 민간자원개발회사가 있다. 여기에 연기금, 금융기관 등 FI의 후방지원이 이뤄져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

문제는 이 SI와 FI간의 연결고리가 단절돼 있다는 점이다.

더커자산운용의 뉴글로벌프론티어 펀드는 에이티넘파트너스를 SI로 하고 우정사업본부, 외환은행, 증권금융, 교보생명 등 다수의 FI가 참여했다. 성공사례 중에 하나로 꼽히지만 이 과정에서도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최종 투자심의위원회에서 부결됐다. 확정 우선배당으로 4%대 수익을 약속했지만 은행 특성상 보수적인 운용방식에 막혔다.

은행의 경우 위험부담을 최소로 가져간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국내 연기금 역시 자원분야 투자사례가 드문 데다 일반 법인도 하우스내 자원전문가가 없는 실정이다. FI가 펀드 특성은 뒤로 하고 무조건 원금보장을 요구하는 건 이런 점 때문이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자원펀드를 들고 갔더니 전혀 다른 성격의 투자제안서를 내놓으면서 너네도 이 펀드와 똑같이 원금보장 구조로 짜오라는 말을 들었을 때 가장 황당했다"고 말했다.


◇사모로 못 하니까 공모펀드?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서 출시된 주요 자원펀드는 공모방식이 많다. 운용업계에서는 사모에서 운용경험을 쌓고 공모시장에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자원펀드는 그러기가 쉽지 않다.

RG에너지자원자산운용(이하 RG운용)이 대표적이다. RG운용은 지난해 11월 삼성물산이 인수한 파라렐 페트롤리엄(Parallel Petroleum)의 유가스전 생산광구에 투자하기 위한 펀드 조성에 나섰다. 당초 파라렐 페트롤리엄 지분은 삼성물산 51%, 한국석유공사 10%, 재무적 투자자(FI) 39%의 비율로 인수될 계획이었다.

하지만 FI모집 실패로 사모펀드 설정이 지연되면서 삼성물산(90%)과 한국석유공사(10%)가 우선 지분을 인수했다. 이후 사모펀드로 참여하지 못한 물량만큼을 공모펀드 방식으로 조성중이다. 현재 이 펀드는 판매사들마저 참여가 저조해 펀드 설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2007년 설정된 베트남 15-1 유전펀드와 하나UBS암바토비니켈펀드, 올해 미국 앵커 유전펀드 등도 그간 공모형태로 나왔다. 베트남 15-1 유전펀드의 경우 우정사업본부, 신한생명, 사학연금, 새마을금고 등이 한국석유공사가 내놓은 지분에 40% 가량 참여했다. 나머지 60%는 개인이 투자했다.

같은 해 설정된 하나UBS자산운용의 암바토비 니켈펀드 역시 당초 목표금액이었던 2600억원의 절반에 못미치면서 대우인터내셔널, 삼성물산, 현대중공업 외에 개인투자자 자금을 추가로 받았다. 이 펀드는 당시 산업자원부와 대한광업진흥공사가 2000억 규모의 사모형태로 출시할 계획이었다가 공모펀드로 전환했다.

연초 미국 앵커 해상 유전에 투자하는 펀드도 FI 참여 저조로 당초 계획했던 것에 비해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아졌다. 당초 펀드 운용사인 한국투자신탁운용은 FI 1500억, 개인투자자 2000억원 모집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FI가 600억~700억 모집에 그치면서 개인투자자 비중이 2800억원으로 늘어났다.

개인투자자에게 자원개발펀드 투자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FI 유치에는 여전히 한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SI - FI 연결하는 데 운용사 역할해야

기관투자가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묘안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당장은 운용사들이 펀드 구조설계와 운용과정에서 투자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장기적으로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운용사가 FI는 자원개발 위험부담을 단계적으로 늘려 나가고 SI는 FI의 요구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는 조율작업을 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를 테면 FI가 항상 강조하는 원금보장 부분은 한국무역보험공사의 해외자원개발펀드보험 제공과 SI의 신용공여로 충족시킬 수 있다. 또 펀드 설정단계가 아닌 딜 소싱 과정에서부터 FI에게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면 신뢰를 얻을 수 있다.

FI 자금유치에 성공한 운용사는 사모펀드인데도 운용보고서를 매월 제공하고 있다. 일반 공모펀드보다도 보고서 제공주기가 짧다. 펀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상호간에 오해가 생길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업계 전문가는 "연기금이나 일반 법인 역시 향후 자원분야에 인하우스 전문가를 고용하고 대체투자처 다변화 전략의 하나로 자원개발 투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http://news.mt.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