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2015

Deity, Albert Einstein


My sense of god is my sense of wonder about the universe.

- Albert Einstein (1879-1955)

내게 신이란 우주만물에 대한 나의 경외감입니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

5/30/2015

3급 사자성어

3급 사자성어

(가)
家給人足(가급인족) : 집집마다 먹고 사는 것이 不足함이 없이 넉넉함.
街談巷說(가담항설) : 거리나 巷間에 떠도는 所聞. (街談巷語. 流言蜚語. 道聽塗說)
家徒壁立(가도벽립) : 집안이 몹시 家難함.
可東可西(가동가서) : 동쪽이라 할만도 하고 서쪽이라 할만도 함.(이렇게 할만도 하고 저렇게 할만도 함)
假弄成眞(가롱성진) : 장난삼아 한 것이 眞心으로 한 것같이 됨.(弄假成眞)
家無擔石(가무담석) : 집에 모아 놓은 財産이 조금도 없음.
家書萬金(가서만금) : 旅行중에 집안사람으로부터 便紙를 받으면 그 기쁨이 萬金을 얻음과 같음.
佳人薄命(가인박명) : 아름다운 女子는 壽命이 짧음.(美人薄命, 紅顔薄命)
刻骨難忘(각골난망) : 남에게 입은 恩惠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혀지지 아니함.(結草報恩)
各得其所(각득기소) : 結局에는 各自의 能力과 適性에 맞게 適切한 位置에 놓이게 됨.
角者無齒(각자무치) : 뿔이 있는 놈은 이빨이 없다.(한사람이 여러 가지 재주나 福을 다 가질 수 없음).
各自爲政(각자위정) : 全體와의 調和나 他人과의 協力이 어렵게 됨.
刻舟求劍(각주구검) : 融通性이 없이 어리석음.(刻船求劍, 守株待兎)
肝腦塗地(간뇌도지)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
干城之材(간성지재) : 나라를 지키는 人才
間世之材(간세지재) : 여러世代를 通하여 드물게 나는 人才.(훌륭한 人才)
敢不生心(감불생심) :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함. 감히 그런 마음을 먹지 못함.(焉敢生心, 敢不生意)
甘言利說 (감언이설) : 달콤한 말과 이로운 말. (남의 脾胃를 맞추거나 꾀는 말)
感之德之(감지덕지) : 분에 넘치는 듯싶어 매우 고맙게 여김.
甲男乙女(갑남을녀) : 甲이란 男子와 乙이란 女子. (普通 平凡한 사람들)(張三李四, 匹夫匹婦)
强近之族(강근지족) : 도움을 줄 만한 아주 가까운 겨레붙이.(强近之親)
剛木水生(강목수생) : 물기가 없는 나무에서 물이 남.(乾木水生)
江湖煙波(강호연파) : 江이나 湖水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氣運과 그 水面의 잔물결.(大自然의 風景)
改過遷善(개과천선) : 허물을 고쳐 착하게 됨.(改過自新, 悔過遷善)
開卷有益(개권유익) : 책을 읽으면 有益함.
開門納賊(개문납적) : 門을 열어 도둑을 맞아들임.(제 스스로 禍를 불러들임)
蓋世之才(개세지재) : 世上을 뒤엎을 만큼 뛰어난 재주나 그 재주를 가진 사람.
改玉改行(개옥개행) : 차고 다닐 玉의 種類를 바꾸면 걸음걸이도 바꾸어야 함.(法을 變更하면 일도 고쳐야 함)
開源節流(개원절류) : 財源을 늘리고 支出을 줄임.
客反爲主(객반위주) : 손님이 도리어 主人이 됨.(主客顚倒)
車水馬龍(거수마룡) : 수레는 흐르는 강물과 같고, 馬匹들의 움직임은 물에서 헤엄치는 蛟龍과 같다. (權勢있는 자에게 줄을 대보려는 阿附꾼들의 車輛行列을 描寫한 말)
居安思危(거안사위) : 便安할 때에 어려움이 닥칠 것을 미리 對備하여야 함.(亡羊補牢, 有備無患, 安居危思)
擧案齊眉(거안제미) :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恭遜히 들어 앞에 가기고 감.(男便을 깍듯이 恭敬함)
擧一反三(거일반삼) : 하나를 들면 셋으로 돌아옴.(스승으로부터 하나를 배우면 다른 것까지도 類推해서앎)(聞一知十)
車載斗量(거재두량) : 수레에 싣고 말로 됨.(物件이나 人才 따위가 많아서 그다지 貴하지 않음)
乾木水生(건목수생) : 물기가 없는 나무에서 물이 남.(剛木水生)
乞人憐天(걸인연천) : 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김.(不幸한 處地에 놓인 사람이 부질없이 幸福한 사람을 同情함)
格物致知(격물치지) : 實際 事物의 理致를 硏究하여 앎에 이름.(實事求是)
隔世之感(격세지감) : 오래지 않은 동안에 몰라보게 變하여 아주 다른 世上이된 것 같은 느낌.(今昔之感)
擊壤之歌(격양지가) : 땅을 두드리며 부르는 노래.(歲月의 太平함)(鼓腹擊壤)
激濁揚淸(격탁양청) : 濁流를 몰아내고 맑은 물결을 끌어 들임.(惡을 미워하고 善을 좋아함)(勸善懲惡)
牽强附會(견강부회) : 理致에 맞지 않는 말을 抑止로 끌어 붙여 自己에게 有利하게 함.
見金如石(견금여석) : 黃金을 보기를 돌같이 함.(지나친 慾心을 節制함)
見利思義(견리사의) : 눈앞에 利益을 보면 義理를 먼저 생각함.
犬馬之勞(견마지로) : 개나 말 程度의 하찮은 힘.(윗사람에게 忠誠을 다하는 自身의 努力을 낮추어 이르는 말) (犬馬之誠, 犬馬之役, 犬馬之心, 狗馬之心, 粉骨碎身, 盡忠竭力)
犬馬之養(견마지양) : 개나 말을 기르는 것과 같음.(父母를 모시는 데 먹는 것이나 돌보고 만다면 개와 말을 기르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것)(父母를 疏忽이 待接하고 恭敬하지 않음. 不孝)
見物生心(견물생심) : 物件을 보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慾心이 생김.
堅壁淸野(견벽청야) : 城에 들어가 지키며 敵에게 먹을 것을 주지 않기 위해 들판을 비움.
見善如渴(견선여갈) : 착한 일을 보기를 마치 목마른 것같이 함.
見善從之(견선종지) : 착한 일이나 착한 사람을 보면 그것을 따름.
犬牙相制(견아상제) : 땅의 境界가 一直線으로 되어 있지 않고 개의 이빨처럼 들쭉날쭉 서로 어긋남. (犬牙相錯)
見危授命(견위수명) : 나라가 危殆로울 때 自己의 몸을 나라에 바침.(見危致命)
堅忍不拔(견인불발) : 굳게 참고 견디어 마음이 흔들리지 않음.(木人石心)
見兎放狗(견토방구) : 토끼를 發見한 후에 사냥개를 풀어도 늦지 않음.(일이 되어가는 것을 본 뒤에 對處함)
犬兎之爭(견토지쟁) : 개와 토끼의 싸움. (두 사람의 싸움에 第三者가 利益을 봄)(蚌鷸之爭, 漁父之利)
結義兄弟(결의형제) : 兄弟의 義理를 맺음.(桃園結義)
結者解之(결자해지) : 맺은 사람이 풂.(자기가 저지를 일은 자기가 解決함)
結草報恩(결초보은) : 죽은 뒤에라도 恩惠를 잊지 않고 갚음.(刻骨難忘, 白骨難忘, 難忘之澤, 難忘之恩)
兼人之勇(겸인지용) : 혼자서 能히 몇 사람을 당해 낼만한 勇氣.
兼聽則明(겸청즉명) : 여러 사람의 意見을 들어보면 是非를 正確하게 判斷할 수 있음.
輕擧妄動(경거망동) : 가볍고 妄靈되게 行動함.(眼下無人, 傍若無人)
經國濟世(경국제세) : 나라를 잘 다스려 世上을 救濟함.(經世濟民)
傾國之色(경국지색) : 임금이 惑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程度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女人.(傾城之色, 無比一色, 天下一色, 天下絶色, 絶世佳人, 萬古絶色, 羞花閉月 , 丹脣皓齒,花容月態)
驚弓之鳥(경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람.)傷弓之鳥)
輕薄浮虛(경박부허) : 말하고 行動하는 것이 愼重하지 못하고 實速이 없음.
經世致用(경세치용) : 學問은 世上을 다스리는 데에 實質的인 利益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함.
敬而遠之(경이원지) : 恭敬하되 가까이하지는 않음.
驚天動地(경천동지) :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뒤흔듦.(世上을 몹시 놀라게 함)
鏡花水月(경화수월) : 거울에 비친 꽃과 물에 비친 달. 눈으로 볼 수 있으나 잡을 수는 없음.(詩文에서
느껴지기는 하나 表現할 수 없는 微妙한 情趣.
鷄口牛後(계구우후) :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큰 團體의 꼴찌보다는 작은 團體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더 나음)
鷄群孤鶴(게군고학) : 닭 무리 가운데 한 마리의 鶴.(보통 가운데 뛰어난 하나)(群鷄一鶴, 鷄群一鶴)
鷄卵有骨(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음.(運數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機會를 만나도 亦是 일이 잘 안됨.
鷄鳴狗盜(계명구도) : 中國 春秋 時代에 孟嘗君의 食客들이 닭 울음소리와 좀도둑질로 맹산군을 危機에서 구함.(점잖은 사람이 배울 것이 못 되는 賤한 機能)(鷄鳴之客)
計無所出(계무소출) : 計劃은 하여보나 所得이 없음(百計無策)
孤獨單身(고독단신) : 외로운 홀몸(孑孑單身)
孤立無援(고립무원) : 孤立되어 救援을 받을 때가 없음.(四面楚歌)
枯木死灰(고목사회) : 겉모습은 마른나무와 같고 마음은 재와 같음.(生氣와 意慾이 없는 사람)
鼓腹擊壤(고복격양) : 太平한 歲月을 즐김.(擊壤之歌, 康衢煙月, 含哺鼓腹)
高山流水(고산유수) : 높은 산과 흐르는 물.(自己 마음속과 價値를 잘 알아주는 참다운 親舊)
孤城落日(고성낙일) : 외딴 城과 西山에 지는 해.(勢力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處地)
姑息之計(고식지계) : 于先 當場 便한 것만을 擇하려는 꾀나 方法.(下石上臺, 臨時方便, 彌縫策)
高岸深谷(고안심곡) : 높은 언덕이 깊은 골짜기가 됨.(桑田碧海)
高揚酒徒(고양주도) : 술을 좋아하며 제멋대로 行動하는 사람.(斗酒不辭,고주망태)
苦肉之計(고육지계) : 自身의 괴로움을 무릅쓰고 꾸미는 計策.(苦肉之策)
孤掌難鳴(고장난명) :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함.(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 (獨掌難鳴)
苦盡甘來(고진감래)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옴.(苦生 끝에 즐거움이 옴)
高枕安眠(고침안면) : 베개를 높이 하여 便安히 잠.(便安한 生活) (擊壤之歌, 康衢煙月, 含哺鼓腹, 高枕而臥)
高枕而臥(고침이와) : 베개를 높이 하여 便安히 잠.(便安한 生活) (擊壤之歌, 康衢煙月, 含哺鼓腹, 高枕安眠)
曲高和寡(곡고화과) : 曲이 높으면 和答하는 사람이 적음.(사람의 才能이 너무 높으면 따르는 무리들이적음)
曲直不問(곡직불문) : 바르거나 바르지 않음을 묻지 아니함.
曲學阿世(곡학아세) : 바른길에서 벗어난 學問으로 世上 사람에게 阿諂함.
困獸猶鬪(곤수유투) : 危急할 때는 아무리 弱한 짐승이라도 싸우려고 덤빔.(窮鼠?猫)
困而知之(곤이지지) : 疲困해 지도록 공부하여 앎.
骨肉相殘(골육상잔) : 가까운 血族끼리 서로 해치고 죽임.(骨肉相爭, 骨肉相戰)
骨肉之親(골육지친) : 父子, 兄弟 등의 肉親.(血肉之親)
空谷足音(공곡족음) : 아무도 없는 골짜기에 울리는 사람 발자국 소리.(豫期치 못했던 기쁜 일이나 몹시 神奇한 일 따위)
孔席墨突(공석묵돌) : 墨子 집의 굴뚝엔 그을음이 낄 새가 없다.(여기저기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
空前絶後(공전절후) : 앞에는 비었고 뒤에는 끊어짐.(記錄 따위가 너무 좋아 前에도 없었고 앞으로 나오지 않을 것임)(曠前絶後, 前無後無, 破天荒, 未曾有)
空中樓閣(공중누각) : 空中에 떠 있는 樓閣.(아무런 根據나 土臺가 없는 事物이나 생각)(蜃氣樓)
公平無私(공평무사) : 사사로움이 없이 공정하고 평등하게.
過恭非禮(과공비례) : 지나친 恭遜은 禮儀가 아님.
誇大妄想(과대망상) : 自身의 能力, 財産, 容貌 따위의 現在 狀態를 實際보다 턱없이 크게 誇張하여 그것을 事實인 것처럼 믿는 일이나 그런 생각.
寡不適中(과부적중) : 적은 것으로 많은 것을 對敵하지 못함.(衆寡不敵)
過猶不及(과유불급) : 程度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음.
矯角殺牛(교각살우) :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임.(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方法이나 程度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
巧言令色(교언영색) : 阿諂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態度.
敎學相長(교학상장) :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 成長함.
九曲肝腸(구곡간장) : 굽이굽이 서린 창자.(깊은 마음속 또는 시름이 쌓인 마음속)
九曲羊腸(구곡양장) : 아홉 번 꼬부라진 양의 창자.(꼬불꼬불하며 험한 산길)(九折羊腸)
九年面壁(구년면벽) : 달마가 崇山 小林寺에서 9년 동안 壁을 보고 坐禪하여 道를 깨달은 일.
狗馬之心(구마지심) : 개나 말 程度의 하찮은 힘.(윗사람에게 忠誠을 다하는 自身의 努力을 낮추어 이르는 말) (犬馬之勞, 犬馬之誠, 犬馬之役, 犬馬之心, 粉骨碎身, 盡忠竭力)
口蜜腹劍(구밀복검) : 입에는 꿀이 있고 배 속에는 칼이 있음.(말로는 親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笑裏藏刀, 笑中有劍)
九死一生(구사일생) : 아홉 번 죽을 뻔 하다 한 번 살아남.(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 (起死回生, 白死一生, 十生九死)
口尙乳臭(구상유취) :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남.(말이나 行動이 幼稚함)(黃口乳臭)
九十春光(구십춘광) : 봄의 석 달 동안.(석 달 동안의 和暢한 날씨)
九牛一毛(구우일모) :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 박힌 하나의 털.(매우 많은 것 가운데 極히 적은 數) (鳥足之血, 漢江投石, 滄海一粟, 滄海一滴, 大海一滴, 大海一粟)
口耳之學(구이지학) :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傳하는 것이 고작인 學問.
九折羊腸(구절양장) : 아홉 번 꼬부라진 羊의 창자.(꼬불꼬불하며 險한 산길)(九曲羊腸)
九天直下(구천직하) : 하늘에서 땅을 향하여 一直線으로 떨어짐.(一瀉千里, 破竹之勢, 騎虎之勢)
口禍之門(구화지문) :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駟不及說)
國士無雙(국사무쌍) : 나라에서 견줄 사람이 없을 程度로 빼어난 선비.
群鷄一鶴(군계일학) :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鶴.(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人物)(囊中之錐,白眉)
群盲評象(군맹평상) : 장님 여럿이 코끼리를 만짐.(事物을 좁은 所見과 主觀으로 잘못 判斷함)(群盲無象)
群雄割據(군웅할거) : 여러 英雄이 각기 한 地方씩 차지하고 威勢를 부림.
君子務本(군자무본) : 君子는 根本에 온 힘을 다 쏟음.
君子不器(군자불기) : 君子는 그릇이 아님.(君子는 그릇처럼 틀에 얽매이지 않음)
君子三樂(군자삼락) : 君子의 세 가지 즐거움.(父母가 살아 계시고 兄弟가 無故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天下의 英才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
窮寇莫追(궁구막추) : 避할 곳 없는 개를 쫓지 말 것.(困難한 地境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害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窮鼠莫追, 窮寇勿迫, 窮寇勿追)
窮年累世(궁년누세) : 自身의 一生과 子孫代代.
窮餘之策(궁여지책) : 窮한 나머지 생각다 못하여 짜낸 하나의 計策.(窮餘一策)
權謀術數(권모술수) : 目的 達成을 위하여 手段과 方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謀略이나 術策.(權謀術策)
權不十年(권불십년) : 權勢는 十年을 가지 못함.(勢不十年)
勸善懲惡(권선징악) : 착한 일을 勸?하고 惡한 일을 懲戒함.
歸馬放牛(귀마방우) : 戰爭에 썼던 말과 소를 놓아 줌.(더 以上 戰爭을 하지 아니함)
克己復禮(극기복례) : 자기의 慾心을 누르고 착한 本性의 禮度를 回復함.
近墨者黑(근묵자흑) :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짐.(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릇에 물들기 쉬음)(近朱者赤)
近悅遠來(근열원래) : 가까운 곳에서는 기뻐하고 먼 곳에서는 옴.(政治를 잘하면 國內와 隣近 國家들이 그 惠澤을 입게 되어 기뻐하고 먼 나라 사람들이 欽慕하여 모여 듦)
近憂遠慮(근우원려) : 가까운 곳에서는 근심하고 먼 곳에서는 念慮함.(內憂外患)
金科玉條(금과옥조) : 金이나 玉처럼 貴重히 여겨 꼭 지켜야 할 法則이나 規程.
金蘭之契(금란지계) : 쇠처럼 단단하고 蘭草 香氣처럼 그윽한 사귐.(親한 親舊사이)(金蘭之交, 金蘭之誼)
金迷紙醉(금미지취) : 金종이에 精神이 迷惑되고 醉함.(奢侈스런 生活)
錦上添花(금상첨화) : 비단위에 꽃을 더함.(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 짐)
金石盟約(금석맹약) : 쇠나 돌처럼 굳고 變함없는 約束.(金石牢約, 金石之約, 金石相約)
金石爲開(금석위개) : 쇠와 돌을 열리게 함.(精神을 集中해서 全力을 다하면 어떤 일이라도 成功할 수 있음)(中石沒鏃, 精神一到何事不成)
今昔之感(금석지감) : 지금과 옛날의 差異가 너무 甚하여 생기는 느낌.(隔世之感)
金城鐵壁(금성철벽) : 쇠로 만든 城과 鐵로 만든 壁.(防禦 施設이 잘 되어 있어서 攻擊하기 어려운 城 (金城湯池, 湯池鐵城, 難攻不落)
錦衣夜行(금의야행) :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다님.(아무 보람 없는 일을 함)(錦衣晝行, 繡衣夜行, 衣錦夜行)
錦衣玉食(금의옥식) : 비단옷과 흰 쌀밥.(豪華스럽고 奢侈스러운 生活)(好衣好食, 暖衣飽食)
錦衣還鄕(금의환향) : 비단옷을 입고 故鄕에 돌아옴.(出世를 하여 故鄕에 돌아 감)(立身揚名, 衣錦歸鄕, 衣錦之榮)
金枝玉葉(금지옥엽) : 金으로 된 가지와 玉으로 된 잎.(임금의 家族. 貴한 子孫)(瓊枝玉葉)
氣高萬丈(기고만장) : 氣運이 높이 치솟고 멀리까지 뻗침.(꺼드럭거리며 우쭐하여 뽐내는 氣勢가 대단함) (豪氣萬丈)
記問之學(기문지학) : 單純히 冊을 읽거나 외기만 할 뿐 제대로 理解하지 못하는 學問.
起死回生(기사회생) : 重病 따위로 因하여 거의 죽을 뻔하다가 도로 살아남.(九死一生)
奇想天外(기상천외) : 着想이나 생각 따위가 쉽게 斟酌할 수 없을 程度로 奇拔하고 엉뚱함.
騎虎之勢(기호지세) :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形勢.(이미 始作한 일을 中途에서 그만둘 수 없음.(騎獸之勢) (騎虎難下)
奇貨可居(기화가거) : 珍奇한 物件을 잘 간직할 만함.(좋은 機會를 놓치지 말아야 함)(千載一遇, 勿失好機)

(나)
落葉歸根(낙엽귀근) : 잎이 떨어져 뿌리로 돌아감.(結局은 自己가 본래 났거나 자랐던 곳으로 돌아감.
樂而不淫(낙이불음) : 즐기되 淫蕩하지는 않음.(즐거움의 도가 지나치지 않음)
落花流水(낙화유수) :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男女가 서로 그리는 情을 가지고 있음)
難攻不落(난공불락) : 攻擊하기가 어려워 쉽사리 陷落되지 아니함.(金城湯池, 金城鐵壁)
難忘之恩(난망지은) : 잊기 어려운 恩惠.(難忘之澤)
亂臣賊子(난신적자) : 나라를 어지럽히는 불충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못된 자식.
暖衣飽食(난의포식) :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飽食暖衣, 錦衣玉食)
難兄難弟(난형난제) : 누구를 兄이라 하고 누구를 동생이라 하기 어려움.(두 事物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定하기 어려움)(莫上莫下, 伯仲之勢)
南郭濫吹(남곽남취) : 無能한 사람이 才能이 있는 체하거나 實力이 없는 사람이 어떤 地位에 붙어 있음)
南面出治(남면출치) : 임금의 자리에 올라 나라를 다스림.(임금이 남쪽을 向하여 臣下와 對面한 데서 由來)
南船北馬(남선북마) : 남쪽은 江이 많아 배를 利用하고 북쪽은 山과 沙漠이 많아서 말을 利用함. (늘 쉬지 않고 여기 저기 旅行을 하거나 돌아다님)(北馬南船)
男尊女卑(남존여비) : 男子는 尊貴하고 女子는 卑賤함.(女子보다 男子를 優待하고 尊重함)
內憂外患(내우외환) :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어려움.(近憂遠慮)
內柔外剛(내유외강) : 안으로는 부드럽고 밖으로는 强함.
內潤外朗(내윤외랑) : 玉의 光澤이 안에 含蓄된 것을 內潤이라 하고 밖으로 나타난 것을 外廊이라 함. (재주와 德望을 兼備 함)
內助之功(내조지공) : 안에서 돕는 功.(아내가 家庭에서 男便이 바깥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줌)
內淸外濁(내청외탁) : 속은 맑으나 겉은 흐림.(어지러운 世上을 살아가려면 마음은 맑게 가지면서 行動은 흐린 것처럼 하여야 함.
怒甲移乙(노갑이을) :甲에게 당한 노여움을 乙에게 옮김.(어떠한 사람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은 다른 사람에게 화풀이 함.(怒甲乙移)
老當益壯(노당익장) : 늙었지만 意慾이나 氣力은 점점 좋아짐.
路柳墻花(노류장화) : 아무나 쉽게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娼女나 妓生)
老馬之智(노마지지) : 늙은 말의 智慧.(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長技나 長點을 지니고 있음) (豊富한 經驗에서 나오는 智慧(老馬識途)
怒發大發(노발대발) : 몹시 怒하여 크게 성을 냄.(怒髮衝冠)
怒髮衝冠(노발충관) : 怒하여 일어선 머리카락이 冠을 추켜올림.(몹시 성이 난 모양)(怒發大發)
勞而無功(노이무공) :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徒勞無益, 萬事休矣)
綠林豪客(녹림호객) : 푸른 숲 속의 豪傑.(火賊이나 도둑을 달리 이르는 말)(綠林豪傑)
綠衣使者(녹의사자) : 푸른 옷을 입은 사자.(앵무새)
綠衣紅裳(녹의홍상) : 연두저고리에 다홍치마.(젊은 女子의 고운 옷차림)
論功行賞(논공행상) : 功績의 크고 작음 따위를 論議하여 그에 알맞은 賞을 줌.
弄瓦之慶(농와지경) : 딸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中國에서 딸을 낳으면 흙으로 만든 실패를 장난감으로 주었다는데서 由來.
屢見不鮮(누견불선) : 너무 자주 보아 전혀 새롭지 않음.
累卵之危(누란지위) : 層層이 쌓아 놓은 알의 危殆로움.(몹시 아슬아슬한 危機)(累卵之勢, 百尺竿頭, 風前燈火, 危機一髮)

(다)
多多益善(다다익선) : 많으면 많을수록 좋음.
多聞博識(다문박식) : 보고 들은 것이 많고 아는 것이 많음.
斷金之交(단금지교) : 쇠도 자를 만큼 强한 사귐.(매우 두터운 友情)(斷金之契)
斷機之戒(단기지계) : 짜던 베를 끊어 訓戒함.(斷機之敎, 孟母三遷, 三遷之敎, 三遷之敎)
單刀直入(단도직입) : 혼자서 칼 한 자루를 들고 敵陣으로 곧장 쳐들어감.(여러 말을 늘어놓지 아니하고 바로 核心적인 것을 말함)(去頭截尾)
單獨一身(단독일신) : 一家親戚이 없는 혼자의 몸.(孑孑單身)
談笑自若(담소자약) :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하며 沈着함. (言笑自若)
淡水之交(담수지교) : 맑은 물의 사귐.(淡泊하고 變함이 없는 友情.(管鮑之交)
堂狗風月(당구풍월) : 書堂에서 기르던 개가 繼續하여 글 읽는 소리를 들으면 風月을 읊음 (한 分野에서 오래되면 努力하지 않아도 얼마간의 經驗과 知識을 지니게 됨)
黨同伐異(당동벌이) : 일의 옳고 그름은 따지지 않고 뜻이 같으면 한 무리가 되고 그렇지 않으면 攻擊함. (同黨伐異)
大驚失色(대경실색) : 크게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됨.
大器晩成(대기만성) :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림.(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 짐)
大同小異(대동소이) : 큰 差異가 없이 거의 같음.(小異大同, 五十步百步)
大書特筆(대서특필) : 글자를 크게 쓰고 特別하게 보이게 씀.(新聞 따위의 出版物에서 어떤 記事에 큰 比重을 다룸)(大書特記, 大書特書, 大字特書)
對牛彈琴(대우탄금) : 소 귀에 거문고 소리.(어리석은 사람에게 깊은 理致를 말해 주어도 아무 所用이 없다는 말)(馬耳東風, 牛耳讀經)
大義滅親(대의멸친) : 大義를 위해서는 親族도 滅함.(國家나 社會의 大義를 위해서는 父母兄弟의 情도 돌보지 않음)
大義名分(대의명분) :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行하여야 할 道理나 本分.(어떤 일을 꾀하는 데 내세우는 合當한 口實이나 理由)
代人捉刀(대인착도) : 남을 代身하여 일을 함.
大材小用(대재소용) : 큰 材木이 작게 쓰임.(큰 材木은 큰일에 쓰여야 함)(牛鼎烹鷄, 牛刀割鷄)
對症下藥(대증하약) : 症勢에 맞게 藥을 써야 함.(問題의 核心을 바로 보고 大處해야 함)
德無常師(덕무상사) : 德을 닦는 데는 一定한 스승이 없음.(마주치는 環境, 마주치는 사람 모두가 修行에 도움이 됨)
德本財末(덕본재말) : 사람이 살아가는 데 德이 根本이고, 財物은 些少함.
德必有隣(덕필유린) : 德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어 외롭지 않음.
徒勞無益(도로무익) : 헛되고 實益이 없음.(徒勞無功, 勞而無功)
道傍苦李(도방고리) : 길옆의 쓴 자두나무.(사람들이 버린 物件이나 無用之物)
道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物件도 주워 가지 않음.(生活에 餘裕가 생기고 믿음이 차 있는 世上의 아름다운 風俗을 이르는 말)(塗不拾遺, 路不拾遺, 堯舜時代, 太平聖代)
桃園結義(도원결의) : 義兄弟를 맺음.(유비, 관우, 장비가 桃園에서 義兄弟를 맺은 데에서 由來)
盜憎主人(도증주인) : 도둑은 主人을 미워함.(自己와 反對되는 立場에 있는 사람을 미워함.
道聽塗說(도청도설) : 거리나 巷間에 떠도는 所聞.(街談巷語. 流言蜚語. 街談巷說)
塗炭之苦(도탄지고) : 진흙탕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괴로움.(悲慘한 生活).
倒行逆施(도행역시) : 차례나 順序를 바꾸어서 行함.
獨不將軍(독불장군) : 혼자서는 將軍이 될 수 없음.(무슨 일이든 자기 생각대로 혼자서 處理하는 사람)
讀書亡羊(독서망양) : 글을 읽는 데 精神이 팔려서 먹이고 있던 羊을 잃음.(하는 일에는 神經쓰지 않고 다른 생각만 하다가 狼狽를 봄)
讀書三到(독서삼도) : 讀書를 하는 세 가지 方法.(입으로 다른 말을 아니하고 冊을 읽는 口到, 눈으로 다른 것을 보지 않고 冊만 잘 보는 眼到, 마음속에 깊이 새기는 心到)
讀書三餘(독서삼여) : 冊을 읽기에 適當한 세 가지 餘裕있는 때.(겨울(冬), 밤(夜), 비(雨)가 올 때)
讀書尙友(독서상우) : 冊을 읽음으로써 옛날의 賢人들과 벗이 될 수 있음.
同價紅裳(동가홍상)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같은 값이면 좋은 物件을 가짐)
同工異曲(동공이곡) : 같은 재주에 다른 曲調.(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表現된 內容이나 맛이 다름) (同工異體, 同巧異曲, 同巧異體)
同根連枝(동근연지) : 같은 뿌리에서 나온 잇닿은 나뭇가지.(兄弟姉妹를 말함)
同文同軌(동문동궤) : 글자체를 한가지로 하고 수레의 너비(幅)를 같게 함.(天下가 統一된 狀態) (車同軌, 書同文)
東問西答(동문서답) : 동쪽에서 물으니 서쪽으로 답함.(물음과는 전혀 相關없는 엉뚱한 對答)
同病相憐(동병상련) : 같은 病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김.(어려운 處地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김)(同氣相求, 同舟相救, 同聲相應, 類類相從, 草綠同色)
東奔西走(동분서주) :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뜀.(四方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東西奔走)
東山高臥(동산고와) : 東山에서 베개를 높이 하여 누워 잠.(俗世의 煩雜함을 避하여 山中에 隱居함) (悠悠自適)
同床異夢(동상이몽) : 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꿈.(겉으로는 같이 行動 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 생각을 하고 있음(同床各夢)
東西古今(동서고금) : 동양과 서양, 옛날이나 지금이라는 뜻.(인간 사회의 모든 시대 모듯 곳)(古今東西)
同聲相應(동성상응) : 같은 病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김.(어려운 處地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김)(同氣相求, 同舟相救, 同病相憐, 類類相從, 草綠同色)
同性異俗(동성이속) : 사람이 날 때는 다 같은 소리를 가지고 있으나, 자라면서 그 나라의 風俗으로 因해 서로 달라짐.
同心同德(동심동덕) : 一致團結된 마음.
同而不和(동이불화) : 겉으로는 同意를 表示 하면서도 內心은 그렇지 않음.
斗南一人(두남일인) : 北斗七星의 남쪽(온 天下)의 단 한 사람.(天下에 으뜸가는 훌륭한 人物)
斗酒不辭(두주불사) : 말술도 辭讓하지 않음.(술을 매우 잘 마심)
得意揚揚(득의양양) : 뜻한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냄.(意氣揚揚, 氣高萬丈)
得一忘十(득일망십) : 한 가지를 얻고 열 가지를 잃어버림.(記憶力이 좋지 못함)
登高自卑(등고자비) : 높은 곳을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始作함.(일을 順序대로 하여야 함)(地位가 높아질수록 自身을 낮춤)
燈下不明(등하불명) : 등잔 밑이 어둡다.(가까이 있는 物件이나 사람을 잘 찾지 못함)
燈火可親(등화가친) : 등불을 가까이 할 만함.(서늘한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음)

(마)
馬耳東風(마이동풍) : 말귀에 동쪽바람.(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버림)(對牛彈琴, 牛耳讀經)
莫上莫下(막상막하) : 누구를 위라 하고 누구를 아래라 하기 어려움.(難兄難弟)
莫逆之友(막역지우) : 사귐에 뜻이 맞아 서로 거스르는 일이 없는 벗.(管鮑之交)
萬頃蒼波(만경창파) : 한없이 넓고 넓은 바다.(萬里滄波)
萬古絶色(만고절색) : 아주 오랜 歲月 동안 나오지 않은 예쁜 容貌.(傾國之色)
萬古風霜(만고풍상) : 아주 오랜 歲月 동안 겪어 온 많은 世上.(萬古風雪)
萬事如意(만사여의) : 모든 일이 뜻과 같음.
萬事休矣(만사휴의) : 모든 것이 헛수고로 돌아감.(勞而無功)
晩時之歎(만시지탄) : 時期에 늦어 機會를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歎息.(亡羊之歎, 亡牛補牢, 亡羊補牢) (後時之歎)
晩食當肉(만식당육) : 늦게 배고플 때 먹는 것은 무엇이든 고기 맛과 같게 느껴짐.(시장이 반찬이다)
萬紫千紅(만자천홍)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 꽃의 빛깔이나 그런 빛깔의 꽃.(千紫萬紅)
萬全之策(만전지책) : 모든 것에 完全한 計策.(萬全之計)
亡國之音(망국지음) : 나라를 亡하게 할 音樂.(低俗하고 雜스러운 音樂)(亡國之聲, 鄭衛之音)
亡國之歎(망국지탄) : 故國의 滅亡을 歎息함.(亡國之恨, 麥秀之嘆)
忘年之友(망년지우) : 나이에 꺼리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忘年之交)
望梅解渴(망매해갈) : 梅實은 생각만 하여도 침이 돌아 목마름이 解消됨. 梅實의 맛이 아주 심. (空想으로 잠시 동안의 平安과 慰安을 얻음)(世說新語)
望洋之嘆(망양지탄) : 큰 바다를 보며 하는 恨歎.(어떤 일에 자기 自身의 힘이 미치지 못할 때에 하는 歎息)
亡羊之歎(망양지탄) : 羊을 잃어버리고 하는 歎息.
望雲之情(망운지정) : 故鄕 쪽의 구름을 바라보는 마음.(客地에서 故鄕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 (望雲之懷)
妄自尊大(망자존대) : 妄靈되게 함부로 스스로를 높이고 잘난 체함.
買死馬骨(매사마골) : 죽은 말의 뼈를 삼.(貴中한 것을 손에 넣기 위해 먼저 功을 들이는 것)
梅妻鶴子(매처학자) : 梅花 아내와 鶴 아들.(俗世를 떠나 悠悠自適하게 生活 하는 것)
麥秀之嘆(맥수지탄) : 故國의 滅亡을 歎息함.(箕子 가 殷 나라가 亡한 뒤에도 宮闕터에 보리와 기장만은 잘 자라고, 潤氣있는 것을 보고 恨歎하였다는 데서 由來)(麥秀黍油)
盲龜遇木(맹귀우목) : 눈먼 거북이 偶然히 뜬 나무를 붙잡음.(어려운 形便에 偶然히 幸運을 얻게 됨). (盲龜浮木)
孟母三遷(맹모삼천) : 孟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移徙를 하였음에서 由來.(子息 敎育에 精誠을 다함)(孟母斷機, 三遷之敎, 斷機之戒)
盲人正門(맹인정문) : 소경이 正門을 바로 찾아 들어감.(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理致에 들어맞는 일을 함 (盲人直門, 盲者直門)
面壁九年(면벽구년) : 달마가 崇山에서 9년 동안 壁을 보고 坐禪하여 道를 깨달은 일.(愚公移山)
面張牛皮(면장우피) : 얼굴에 소가죽을 바름.(몹시 뻔뻔스러움)(厚顔無恥, 鐵面皮)
面從腹背(면종복배) : 겉으로는 服從하는 체하면서 內心으로는 背叛함.(面從後言, 陽奉陰違 , 敬而遠之)
明鏡高懸(명경고현) ; 높게 매달려 있는 맑은 거울.(是非를 分明하게 따지는 公正無私한 法官)
明鏡止水(명경지수) :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雜念과 假飾과 헛된 慾心없이 맑고 깨끗한 마음)
命世之才(명세지재) : 한 時代를 바로잡아 救援할 만한 큰 人才.
名實相符(명실상부) : 이름과 實狀이 서로 꼭 맞음.
明若觀火(명약관화) : 불을 보듯 분명하고 뻔함.
命在頃刻(명재경각) : 거의 죽게 되어 곧 숨이 끊어질 地境에 이름.(命在朝夕)
命在朝夕(명재조석) : 거의 죽게 되어 곧 숨이 끊어질 地境에 이름.(命在頃刻)
名從主人(명종주인) : 事物의 이름은 元來 主人이 붙인 이름을 따름.(事物의 名稱은 現地의 呼稱法에 따라야 한다는 말
明哲保身(명철보신) : 聰明하고 事理에 밝아 일을 잘 處理하여 자기 몸을 保存함.
毛遂自薦(모수자천) : 自己가 自己를 推薦함.(春秋戰國時代에 趙나라 平原君이 楚나라에 救援을 請하기 爲하여 使臣을 物色 할 때에 毛遂가 스스로를 推薦하였다는 데서 由來)
目不識丁(목불식정) : 아주 簡單한 글자인 “丁” 자를 눈앞에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함. (까막눈. 아주 無識함)(一字無識, 一字不識 )
目不忍見(목불인견) : 눈앞에 벌어진 狀況따위를 눈뜨고는 차마 볼 수 없음.
木人石心(목인석심) ; 나무로 만든 人間과 돌의 마음.(意志가 굳어 어떠한 誘惑에도 흔들리지 않는 사람. (堅忍不拔)
目前之計(목전지계) : 눈앞의 計策(姑息之計)
武陵桃源(무릉도원) : 世上과 따로 떨어진 別天地.(매우 살기 좋은 곳. 理想鄕)
無不干涉(무불간섭) : 함부로 參見하고 干涉하지 않는 일이 없음.
無不通知(무불통지) : 무슨 일이든지 환히 通하여 모르는 것이 없음.(無不通達)
無比一色(무비일색) : 견줄 데가 없는 오직하나의 美貌.(傾國之色, 天下一色)
無所不爲(무소불위) :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주로 强한 權力을 말할 때 쓰임)
無用之用(무용지용) : 쓸모없는 것의 쓰임.(언뜻 보기에 쓸모없는 것이 오히려 큰 口實을 함)
無爲而治(무위이치) : 聖人의 德이 至極히 커서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天下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 (無爲之治)
無爲而化(무위이화) : 人爲的인 努力을 하지 않아도 스스로 變化함.(聖人의 德이 크면 클수록 百姓들이 스스로 따라서 感化됨)
無爲自然(무위자연) : 人爲的인 것이 없고 저절로 그러한 狀態.(理想的인 境地)
無爲之治(무위지치) : 聖人의 德이 至極히 커서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天下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 (無爲而治)
無依無托(무의무탁) : 몸을 依支하고 맡길 곳이 없음.(몹시 가난하고 외로운 狀態)
文房四友(문방사우) : 文人의 房의 네 가지 벗.(종이, 붓, 벼루, 먹의 네 가지 文房具)(文房四寶)
聞一知十(문일지십) : 하나를 듣고 열 가지를 미루어 앎.(至極히 聰明함)
門前成市(문전성시) : 집 門 앞이 市場을 이루다시피 함.(찾아오는 사람이 많음)(門庭若市)
文筆盜賊(문필도적) : 남의 글이나 著述을 베껴 마치 제가 지은 것처럼 하는 사람.(膝甲盜賊)
勿輕小事(물경소사) : 작을 일이라도 가벼이 보지 말라는 뜻.(작은 일에도 精誠을 다하라는 가르침)
物腐蟲生(물부충생) ; 物件이란 반드시 먼저 썩은 뒤에야 벌레가 생김.(內部에 弱點이 생기면 곧 外部의 侵入이 있게 됨)
勿失好機(물실호기) : 좋은 機會를 놓치지 말라는 뜻.
物心一如(물심일여) : 事物과 마음이 區分없이 하나의 根本으로 統合됨.
物外閒人(물외한인) ; 世上事에 關係하지 않고 閑暇롭게 지내는 사람.
未能免俗(미능면속) : 傳해 내려온 風俗을 따를 수밖에 없음.(世說新語)
尾生之信(미생지신) : 春秋時代 尾生이라는 자가 다리 밑에서 만나자고 한 女子와의 約束을 지키기 위하여 洪水에도 避하지 않고 기다리다가 마침내 溺死하였다는 故事에서 由來. (愚直하여 融通性이 없이 約束만을 굳게 지킴)(믿음이 두터움)
密雲不雨(밀운불우) : 짙은 구름이 끼어 있으나 비가 오지 않음.(어떤 일의 徵兆만 있고 그 일은 이루어 지지 않음)

(바)
博覽强記(박람강기) : 여러 가지 冊을 널리 많이 읽고 記憶을 잘함.(博學多識)
拍掌大笑(박장대소)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破顔大笑, 抱腹絶倒)
博學多識(박학다식) : 學識이 넓고 아는 것이 많음.(博覽强記)
盤溪曲徑(반계곡경) : 서려 있는 溪谷과 구불구불한 길.(일을 順序대로 正當하게 하지 아니하고 그릇된 手段을 써서 抑止로 함.(旁岐曲徑)
盤根錯節(반근착절) : 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處理하기가 매우 어려운 事件)(勢力이 뿌리박고 있어 흔들리지 아니함)
半面之分(반면지분) : 얼굴만 若干 알 程度의, 交分이 두텁지 못한 사이.(半面之識)
半部論語(반부논어) : 半 卷의 論語.(“論語의 折半 知識으로 太祖께서 天下를 平定하시는 일을 도왔으며 나머지 折半의 知識으로 陛下께서 天下를 다스리도록 돕고 있습니다.” 라고 말한 데서 由來)(古典의 學習이 매우 重要함을 比喩한 말)
伴食宰相(반식재상) : 옆에서 밥만 먹는 宰相.(才能이 없으면서 有能한 宰相옆에 붙어서 政事를 處理하는 宰相)
拔本塞源(발본색원) : 뿌리를 뽑고 샘물을 막음.(좋지 않은 일의 根本을 없애 다시는 그러한 일이 생길 수 없도록 함)
發憤忘食(발분망식) : 끼니까지도 잊을 程度로 어떤 일에 熱中하여 努力함.
拔山蓋世(발산개세) : 힘은 山을 뽑을 만큼 세고 氣槪는 世上을 덮을 만큼 雄大함.
傍若無人(방약무인) : 곁에 사람이 없는 것 같음.(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行動하는 態度)(眼下無人)
方長不折(방장부절) : 한창 자라는 풀이나 나무를 꺾지 아니함.(앞길이 有望한 사람이나 事業에 對하여 헤살을 놓지 않음)
方底圓蓋(방저원개) : 밑바닥은 모나고 덮개는 둥긂.(事物이 서로 맞지 아니함)
背水之陣(배수지진) : 江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陣.(어떤 일을 失敗하면 다시는 일어설 수 없다는 決死的인 覺悟로 臨함)
背恩忘德(배은망덕) : 남에게 입은 恩惠를 저버리고 恩德을 잊음.
杯中蛇影(배중사영) : 술잔 속에 비친 뱀의 그림자.(쓸데없는 疑心을 품고 스스로 苦悶함.
百家爭鳴(백가쟁명) : 많은 學者나 文化人 등이 自己의 學說이나 主張을 自由롭게 發表하여 論爭하고 討論함.
百計無策(백계무책) : 백가지 꾀가 아무 所用 없는 일(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計巧를 다 써도 解決할 方道를 찾지 못함.(計無所出)
白骨難忘(백골난망) : 죽어서 白骨이 되어서도 잊을 수 없음.(잊지 못할 큰 恩德)(結草報恩, 刻骨難忘)
百年佳約(백년가약) :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百年之約, 百年佳期, 百年言約)
百年河淸(백년하청) : 아무리 오랜 시일이 지나도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움.(何待歲月, 何待明年)
白頭如新(백두여신) : 머리가 백발이 되도록 오래 사귀었어도 서로 마음을 깊이 알지 못하여 새로 사귄 사람과 다름이 없음.(오랫동안 사귀어 온 사이지만 서로 간의 정이 두텁지 못함)
伯樂一顧(백락일고) : 알아주는 사람이 있어야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
白面書生(백면서생) : 한갓 글만 읽고 세상일에는 전혀 경험이 없는 사람.
百發百中(백발백중) : 백 번 쏘아 백 번 맞힘.(무슨 일이나 틀림없이 잘 들어맞음)(一發必中)
百世之師(백세지사) : 후세까지 모든 사람의 스승으로 존경을 받을 말한 훌륭한 사람.
白首北面(백수북면) : 배움에는 나이제한이 없으므로 백발의 노인이 되어서도 배워야 함.
伯牙絶絃(백아절현) : 춘추시대에 伯牙는 거문고를 매우 잘 탔고 그의 벗 鍾子期는 그 거문고 소리를 잘 들었는데, 종자기가 죽어 그 거문고 소리를 들을 사람이 없게 되자 백아가 절망하여 거문고 줄을 끊어 버리고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 (자기를 알아주는 참다운 벗의 죽음을 슬퍼함)
百折不屈(백절불굴) :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百折不撓)
伯仲叔季(백중숙계) : 백은 맏이, 중은 둘째, 숙은 셋째, 계는 막내라는 뜻으로, 사형제를 차례로 이르는 말.(원래는 4형제일 때의 서열이고 반드시 셋째는 계, 넷째는 숙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님. 남의 동생은 모두 계씨라 하며, 2형제일 때는 형의 아들이 아버지 의 弟(둘째)를 숙부라 함)
伯仲之勢(백중지세) : 누가 첫째이고 둘째인지 구분하기 어려움.(伯仲之間, 難兄難弟)
百八煩惱(백팔번뇌) :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
伐齊爲名(벌제위명) :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 짓을 함.
別無長物(별무장물) : 필요한 것 이외에는 갖지 않음.(물욕이 없는 검소한 생활)
別有乾坤(별유건곤) : 이 세상과 따로 존재하는 세계.(別有天地, 武陵桃源)
別有天地(별유천지) : 이 세상과 따로 존재하는 세계.(別有乾坤, 武陵桃源)
步武堂堂(보무당당) : 걸음걸이가 씩씩하고 위엄이 있음.(* 步는 한걸음, 武는 반(1/2)걸음)(威風堂堂)
報怨以得(보원이득) : 원한을 덕으로 갚음.
覆車之戒(복거지계) :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함. (殷鑑不遠. 點綴)
負重致遠(부중치원) : 무거운 물건을 지고 먼 곳까지 감.(중요한 직책을 맡음)
不知其數(부지기수) : 헤아릴 수가 없을 만큼 많음.
夫唱婦隨(부창부수) : 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부부의 화합하는 도리)
附和雷同(부화뇌동) : 우레 소리에 붙어 섞임.(자기 주견이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임)(附和隨行)
北門之歎(북문지탄) : 北門은 궁궐의 상징어.(벼슬자리에 나가기는 하였으나 뜻대로 성공하지 못하여 그 곤궁함을 한탄함)
北山之感(북산지감) : 北山에서 느끼는 감회.(北山은 궁궐의 상징어 나라일에 힘쓰느라고 부모봉양을 제대로 못한 것을 슬퍼하는 마음.
北窓三友(북창삼우) : 거문고, 술, 시를 말함.
不可救藥(불가구약) : 치료약을 구할 수 없음.(일이 만회할 수 없을 지경에 달하였음)
不問可知(불문가지) : 묻지 아니하여도 알 수 있음.(不言可想, 不言可知, )
不問曲直(불문곡직) :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아니함.(不問曲折, 曲直不問)
不遠千里(불원천리) : 천 리 길도 멀다 하지 않음.(不遠萬里)
不恥下問(불치하문) :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孔子穿珠 )
不偏不黨(불편부당) :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특정 무리에 속하지 않음
非夢似夢(비몽사몽) : 완전히 잠이 들지도 깨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似夢非夢)
比比有之(비비유지) : 어떤 일이나 현상이 흔히 있음.(非一非再)
比翼連理(비익연리) : 比翼鳥와 連理枝.(부부 사이가 아주 화목함)(連理比翼, 琴瑟之樂)
非一非再(비일비재) : 어떤 일이나 현상이 흔히 있음.(比比有之)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燈.(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물)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 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
氷姿玉質(빙자옥질) : 얼음같이 말고 깨끗한 살결과 구슬같이 아름다운 자질.(仙姿玉質)
氷炭之間(빙탄지간) : 얼음과 숯불의 사이.(서로 화합할 수 없는 사이.)(犬猿之間)(不俱戴天)

(사)
四顧無親(사고무친) : 의지할 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孑孑單身)
四面春風(사면춘풍) : 두루 봄바람.(누구에게나 좋게 대함, 또는 그런 사람)(四時春風, 無骨好人, 無腸公子)
斯文亂賊(사문난적) : 유교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
四分五裂(사분오열) : 여러 갈래로 갈기갈기 찢어짐.(질서 없이 어지럽게 흩어지거나 헤어짐)(烏合之卒)
邪不犯正(사불범정) ; 바르지 못하고 요사스러운 것이 바른 것을 건드리지 못함.(정의가 반드시 이김) (事必歸正)
死生決斷(사생결단) : 죽고 삶을 돌보지 않고 끝장을 내려고 함.
捨生取義(사생취의) : 목숨을 버리고 의를 좇음.(목숨을 버릴지언정 옳은 일을 함)(殺身成仁, 殺身立節)
射石爲虎(사석위호) : 호랑이라 여기고 돌에 화살을 쏨.
似是而非(사시위비) : 그럴듯하나 아님.(似而非)
四時春風(사시춘풍) : 사계절 봄바람. 두루 봄바람
辭讓之心(사양지심) :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겸손히 남에게 사양하는 마음.(禮의 실마리가 되는 마음)
死而後已(사이후이) : 죽은 뒤에야 일을 그만둠.(있는 힘을 다하여 그 일에 끝까지 힘씀)
使人物疑(사인물의) : 의심스러운 사람은 부리지 말고(疑人勿使), 일단 사람을 부리게 되면 그 사람을 의심하지 말아야 함
四通八達(사통팔달) : 도로나 교통망, 통신망 따위가 이리저리 사방으로 통함.(四達五通, 四通五達)
事必歸正(사필귀정) : 모든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감(邪不犯正)
四海同胞(사해동포) : 온 세상 사람이 모두 동포
四海兄弟(사해형제) :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친밀함을 이르는 말)(四海同胞)
死灰復燃(사회부연) : 불 꺼진 재가 다시 타오름.(세력을 잃었던 사람이 다시 득세함.)
山窮水盡(산궁수진) : 산길이 막히고 물길이 끊어져 더 갈 길이 없음.(막다른 지경에 이름)(山盡水窮, 山盡海渴)
山紫水明(산자수명) : 산의 초목에 붉은 단풍이 들고 물은 맑음.(경치가 아름다움)(山明秀麗, 山明水紫, 山明水淸, 山紫秀麗)
山戰水戰(산전수전) : 산에서도 싸우고 물에서도 싸움.(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음)
山海珍味(산해진미) : 산에서 나는 진귀한 것과 바다에서 나는 맛있는 것.(山珍海味, 山珍海錯, 山珍海饌 海陸珍味)
殺身成仁(살신성인) :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룸.(捨生取義, 殺身立節)
殺身立節(살신입절) :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절개를 세움.(捨生取義, 殺身成仁)
三年不飛(삼년불비) : 3년 동안 날지 않음.(훗날 웅비(雄飛)할 기회를 기다림(춘추시대 오패(五覇)의 한 사람인 초(楚) 장왕이 3년에 걸쳐 주색(酒色)으로 나날을 보내면서 간신과 충신을 가려내어, 국정에 임하자마자 간신을 처단하고 충신을 등용하여 한 번에 나라가 바로 잡혔다는 고사에서 유래)(一鳴驚人)
森羅萬象(삼라만상) : 우주에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萬彙群象)
三省吾身(삼성오신) : 자기에 대해 하루에 세가지를 반성함.(一日三省)
三旬九食(삼순구식) : 삼십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함.(몹시 가난함)
三十六計(삼십육계) : 서른여섯 가지의 꾀.(많은 꾀)(여러 계책 중에 가장 좋은 것은 도망가는 것이라는 말)
三人成虎(삼인성호) :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범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꾸밀 수 있음.(근거 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곧이듣게 됨)
三日遊街(삼일유가) :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三日天下(삼일천하) : 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어떤 지위에 발탁, 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
三從之道(삼종지도) : 예전에, 여자가 다라야 할 세 가지 도리.(어려서는 아버지, 결혼해서는 남편,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따르는 도리)(三從依托, 三從之德, 三從之禮, 三從之法, 三從之義, 三從之托)
三遷之敎(삼천지교) : 부모가 자녀 교육에 정성을 다함.(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데서 유래.)
喪家之狗(상가지구) : 상가의 개.(몹시 초라하고 수척한 사람을 깔보는 표현.)(자신의 뜻을 펼치지 못하여 실의에 빠진 사람)
傷弓之鳥(상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람.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음.
上石下臺(상석하대) :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굄.(上下?石, 姑息之計)
上善若水(상선약수) : 지극히 착한 것은 마치 물과 같음.(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아니하고, 많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하니 그런 까닭으로 도에 가까움.)
桑田碧海(상전벽해) : 뽕나무 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됨.(세상일의 변천이 심함)(碧海桑田, 桑田滄海, 桑海之變)
塞翁之馬(새옹지마) :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가 어려움.(새옹이란 노인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 낙심하였는데, 그 후 그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기뻐하였고,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져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해 아들 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하여 다시 기뻐하였다는 이야기에서 유래.)(塞翁得失, 塞翁禍福, 轉禍爲福)
生不如死(생불여사) : 살아 있음이 차라리 죽는 것만 못함.(몹시 어려운 형편에 있음.)
生而知之(생이지지) : 태어나면서부터 앎.
生者必滅(생자필멸) : 생명이 있는 것은 반드시 죽음.(존재의 무상(無常))(雪泥鴻爪, 人生無常, 人生朝露)
席不暇暖(석불가난) : 앉은 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음.(자리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 다님)
先見之明(선견지명) :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앞을 내다보고 아는 지혜.
先發制人(선발제인) : 남의 꾀를 사전에 알아차리고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막아 냄.(先則制人)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임(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前虎後狼, 雪上加雪)
雪上加雪(설상가설) : 눈 위에 도 눈이 덮임.
說往說來(설왕설래) : 서로 변론을 주고받으며 옥신각신함.(말이 오고감.)(言法言來, 言三語四, 言往誤來, 言往言來, 是是非非)
雪中送炭(설중송탄) : 추운 날씨에 땔감을 보냄.(급히 필요할 때 필요한 도움을 줌.)
聲東擊西(성동격서) :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에서 적을 침.(적을 유인하여 이쪽을 공격하는 체하다가 그 반대쪽을 치는 전술.)
誠心誠意(성심성의) : 정성스러운 마음과 정성스러운 뜻.
盛者必衰(성자필쇠) : 융성하는 것은 결국 쇠퇴해짐.(日月盈?)
城下之盟(성하지맹) : 성 밑까지 쳐들어온 적군과 맺는 맹약.(항복한 나라가 적국과 맺는 굴욕적인 맹약.)
洗踏足白(세답족백) : 상전의 빨래를 하여 주느라 종의 발꿈치가 희게 됨.(남을 위하여 한 일이 자신에게도 얼마간의 이득이 됨.)(남을 위하여 일을 하고도 아무런 보수도 얻지 못함.)
勢如破竹(세여파죽) : 대를 쪼개는 기세.(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 가는 기세)(破竹之勢,?原之火)
世態炎凉(세태염량) :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여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인심.
小國寡民(소국과민) : 적은 나라 적은 백성.(노자가 그린 이상사회, 이상국가)(武陵桃源)
笑裏藏刀(소리장도) : 웃는 마음속에 칼이 있음.(겉으로는 웃고 있으나 마음속에는 해칠 마음을 품고 있음) (笑中有劍, 笑中有刀, 口蜜腹劍)
燒眉之急(소미지급) : 눈썹에 불이 붙은 지경의 급함.(焦眉之急)
騷人墨客(소인묵객) : 詩文과 書?를 일삼는 사람.
小人之勇(소인지용) : 소인의 용기.(匹夫之勇)
小貪大失(소탐대실) :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貪小失大)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함.
孫康映雪(손강영설) : 晉나라의 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 (螢雪之功)
損者三友(손자삼우) :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벗.(편벽한 벗,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벗, 말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 벗)
率獸食人(솔수식인) : 폭정으로 백성들에게 고통을 줌.(궁궐 주방에는 고기가 있는데, 들에는 굶어 죽은 백성들의 시체가 있다면 이것은 짐승을 몰아다가 사람을 잡아 먹이는 것과 다름이 없다는 孟子의 말씀에서 유래)
送舊迎新(송구영신) :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首丘初心(수구초심) :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쪽으로 둠.(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狐死首丘)
水到魚行(수도어행) : 물이 이르면 물고기가 다님.(무슨 일이건 때가 되면 이루어 짐)
壽福康寧(수복강녕) : 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함.
手不釋卷(수불석권) ; 손에서 책을 놓지 아니하고 늘 글을 읽음.
水魚之交(수어지교) : 물과 물고기의 친함.(水魚之親, 魚水之交)
誰怨孰尤(수원숙우) :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할 것인가?
守株待兎(수주대토) : 宋나라의 한 농부가 우연히 나무 그루터기에 토끼가 부딪쳐 죽은 것을 잡은 후 또 그와 같이 토끼를 잡을까 하여 일도 하지 않고 그루터기만 지키고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 가지 일에만 얽매여 발전을 모르는 어리석음)
隨衆逐隊(수중축대) : 무리를 따르고 대열을 쫓음.(자기의 뚜렷한 주관이 없이 여러 사람의 틈에 끼어 덩달아 행동함)
壽則多辱(수즉다욕) : 오래 살수록 그만큼 욕되는 일이 많음.
宿好衝鼻(숙호충비) : 자는 호랑이의 코를 찌름.(가만히 있는 사람을 공연히 건드려서 화를 입거나 일을 불리하게 만듦.
脣亡齒寒(순망치한) :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림.(서로 이해관계가 밀접한 사이에 어느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그 영향을 받아 온전하기 어려움을 이름)(脣齒輔車, 脣亡齒寒)
市道之交(시도지교) : 시장과 길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사귐.(管鮑之交)
時不可失(시불가실) : 때를 잃어버리면 안 됨.(좋은 기회는 한번 지나가면 다시 잡기가 어려움) (勿失好機, 千載一遇)
是非之心(시비지심) :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視死如歸(시사여귀) :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마치 고향으로 돌아가듯이 여김.(視死如生)
是是非非(시시비비) : 옳은 것은 옳고 그른 것은 그르다고 하는 일.
識字憂患(식자우환) :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사게 됨.
信賞必罰(신상필벌) : 공이 있는 자에게는 반드시 상을 주고, 죄가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벌을 줌. (상과 벌을 공정하고 엄중하게 하는 일)
身言書判(신언서판) : 중국 당나라 때에 관리를 선출하던 네 가지의 표준.(예전에 인물을 선택하는 데 표준으로 삼던 조건인 몸가짐, 말솜씨, 글씨쓰기, 판단력)
神出鬼沒(신출귀몰) : 귀신같이 나타났다가 귀신같이 사라짐.(그 움직임을 쉽게 알 수 없을 만큼 자유자재로 나타나고 사라짐)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深思熟考(심사숙고) : 깊이 잘 생각함.(深思熟慮)
心心相印(심심상인) :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통합.(以心傳心, 敎外別傳, 不立文字)
十年寒窓(십년한창) : 십년 동안 사람이 오지 않아 쓸쓸한 창문.(오랫동안 두문불출 하고 열심히 공부한 세월.(十年窓下)
十目所視(십목소시) : 여러 사람이 다 보고 있음.(세상 사람을 속일 수 없음)
十伐之木(십벌지목)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
十步芳草(십보방초) : 열 걸음 안에 아름다운 꽃과 풀이 있음.(세상에는 훌륭한 사람이 많음)
十日之菊(십일지국) : 한창 때인 9월 9일이 지난 9월10일의 국화.(이미 때가 지난 일)
十中八九(십중팔구) : 열 가운데 여덟아홉.(거의 다)

(아)
我田引水(아전인수) : 자기 논에 물 대기.(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
惡衣惡食(악의악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眼高手卑(안고수비) : 눈은 높으나 재주가 낮음.(이상만 높고 실천이 못함)(眼高手低)
眼高手低(안고수저) : 눈은 높으나 재주가 낮음.(이상만 높고 실천이 못함)(眼高手卑)
安分知足(안분지족) :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 앎.
安貧樂道(안빈낙도) :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淸貧樂道)
安心立命(안심입명) : 불성(佛性)을 깨닫고 삶과 죽음을 초월함으로써 마음의 편안함을 얻음.
眼下無人(안하무인) : 눈 아래에 사람이 없음.(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眼中無人, 眼中之人, 傍若無人)
安閑自適(안한자적) : 평화롭고 한가하여 마음 내키는 대로 즐김.(悠悠自適)
殃及池魚(앙급지어) :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城門에 난 불을 못의 물로 끄니 그 못의 물고기가 다 죽었다는 데서 유래)(池魚之殃, 橫來之厄)
夜郞自大(야랑자대) : 용렬하거나 우매한 무리 가운데서 가장 세력이 있어 잘난 체하고 뽐냄을 이름. (漢나라 때에 서남쪽의 오랑캐 가운데서 야랑국이 가장 세력이 강하여 오만한 데서 유래)
夜而繼晝(야이계주) : 밤에도 낮을 이어 일하고 공부함.(晝耕夜讀, 不撤晝夜, 晝夜長川)
約法三章(약법삼장) : 漢나라 고조가 秦나라 군사를 격파하고 함양(咸陽)에 들어가서 지방의 유력자들과 약속한 세 조항의 법.(사람을 살해한자는 사형에 처하고, 사람을 상해하거나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처벌하며, 그 박의 진나라 법은 폐지한다는 내용)
弱肉强食(약육강식) : 약한 자는 강한자의 먹이.(약한 자는 끝내 강한 자에게 멸망함)
良禽擇木(양금택목) : 새도 가지를 가려서 앉음.(현명한 선비는 좋은 군주를 가려서 모심)
羊頭狗肉(양두구육) :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팜.(겉보기만 그럴듯하고 속은 변변치 못함) (남을 속임)(指鹿爲馬, 甘言利說, 巧言令色, 羊質虎皮)
陽奉陰違(양봉음위) : 겉으로는 받들고 뒤에서는 해치려고 함.(面從腹背, 口蜜腹劍)
梁上君子(양상군자) : 들보위의 군자.(도둑을 좋게 표현한 말)
良藥苦口(양약고구) : 병에 이로운 약은 입에 쓰다.(좋은 말은 귀에 거슬리나 자시에게 이로움)(忠言逆耳)
羊質虎皮(양질호피) : 속은 양이고 가죽은 범.(본바탕은 아름답지 아니하면서 겉모양만 꾸밈)
量體裁衣(양체재의) : 몸에 맞게 옷을 고침.(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하여 문제나 일을 처리함)
楊布之狗(양포지구) : 겉모습이 변한 것을 보고 속까지 변해버렸다고 판단하는 사람.(楊布가 외출할 때는 흰 옷을 입고 나갔다가 비를 맞아ㅓ 검은 옷으로 갈아입고 돌아왔는데 양포의 개가 알아보지 못하고 짖어 대서 개를 때리려 했더니 형 楊朱가 말하기를 “네 개가 나갈 때는 흰 옷을 입고 나갔다가 검은 옷을 입고 돌아온다면 너 역시 괴상하게 여기기 않겠냐”고 나무랐던 일화에서 유래)
養虎遺患(양호유환) : 범을 길러서 화근을 남김.(화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養虎後患)
魚目燕石(어목연석) : 진짜와 비슷하나 본질은 완전히 다른 것.(물고기의 눈과 중국 燕山에서 나는 돌은 구슬처럼 보이나 구슬이 아니라는 데서 유래)
魚變成龍(어변성룡) : 물고기가 변해서 용이 됨.(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됨).
漁父之利(어부지리) : 둘 싸움에 엉뚱한 사람이 이득을 봄.(漁人之功,犬兎之爭, 蚌鷸之爭)
語不成說(어불성설) :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아니함.(萬不成說)
抑强扶弱(억강부약) : 강한 자를 억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줌.
抑弱扶强(억약부강) : 약한 자를 억누르고 강한 자를 도와줌.
焉敢生心(언감생심) : 어찌 감히 그런 생각을 하는가?(敢不生心)
言去言來(언거언래) : 말이 오고 감.
言三語四(언삼어사) : 말을 여러번 주고 받음)
言語道斷(언어도단) : 말할 길이 끊어짐.(어이가 없어서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음)(言語同斷)
言中有骨(언중유골) : 말 속에 뼈가 있음.(예사로운 말속에 단단한 속뜻이 들어 있음.)
言中有言(언중유언) : 말 속에 말이 있음.(예사로운 말속에 단단한 속뜻이 들어 있음.)
言中有響(언중유향) : 말 속에 울림이 있음.(예사로운 말속에 단단한 속뜻이 들어 있음.)
言則是也(언즉시야) : 말이즉 옳음.(말하는 것이 사리에 맞음)
如履薄氷(여리박빙)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음.(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
與民同樂(여민동락) : 임금이 백성들과 함께 즐김.
與羊謀肉(여양모육) : 양에게 양고기를 내어 놓으라고 꼬임.(근본적으로 이룰 수 없는 일)
如魚得水(여어득수) : 물고기가 물을 얻은 것과 같음.(마음에 맞는 사람을 얻거나 자신에게 매우 적합한 환경을 얻게 됨.
如鳥數飛(여조삭비) : 배우고 익히는 것은 새가 자주 날갯짓하는 것과 같다는 뜻.(學習을 말함)
女尊男卑(여존남비) : 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여자를 남자보다 우대하고 존중하는 일.
旅進旅退(여진여퇴) : 줏대 없이 물러나고 나아가는 것을 무리와 함께 함.(附和雷同)
如出一口(여출일구) : 여러 사람의 말이 한 입에서 나온 것과 같음.
如風過耳(여풍과이) : 바람이 귀를 통과하는 것과 같음.(馬耳東風)
與虎謀皮(여호모피) : 호랑이에게 가죽을 내어 놓으라고 꼬임.(근본적으로 이룰 수 없는 일)
易地思之(역지사지) :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함.
鉛刀一割(연도일할) : 납으로 만든 칼로 한 번 벰.(자기의 힘이 없음을 겸손하게 이리는 말)(다시는 쓰지 못함)(우연히 얻게 된 공명이나 영예)
緣木求魚(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함.(도저히 불가능한 일)(上山求魚, 與狐謀皮)
燕雁代飛(연안대비) : 제비가 날아올 때는 기러기가 날아가고 기러기가 날아올 때는 제비가 날아가 서로 교체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감.(사람의 일이 서로 어긋남)(燕鴻之歎)
炎凉世態(염량세태) :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여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을 하는 세상인심.
榮枯盛衰(영고성쇠) : 꽃피고, 마르고, 번성하고, 쇠락함.(천지의 時運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순환하는 일)
五車之書(오거지서) : 다섯 수레의 책(汗牛充棟)
五里霧中(오리무중) : 五里나 되는 짙은 안개 속.(무슨 일에 대하여 방향이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
吾不關焉(오불관언) : 나는 관계하지 않음.
吾鼻三尺(오비삼척) ; 내 코가 석자.(자기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돌 겨를이 없음)
烏飛梨落(오비이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짐.(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세 됨)
傲霜孤節(오상고절) : 차가운 서릿발 속에서도 굴하지 아니하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절개 있는 선비)菊花
吾舌尙在(오설상재) : 나의 혀는 아직 있음.(아직도 천하를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음)
五十笑百(오십소백) :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음.(大同小異)
五言長城(오언장성) : 오언이 만리장성과 같음.(오언의 시에 매우 능숙함)(五言金城)
烏雲之陣(오운지진) : 까마귀나 구름이 모였다 흩어졌다 하듯, 出沒 변화가 자유자재한 陣法.
五日京兆(오일경조) : 오래 계속되지 못하는 일.(京兆는 京兆伊의 준말로 지금의 한국의 서울시장에 해당함. 5일 동안 서울시장을 함
烏鳥私情(오조사정) : 까마귀의 사사로운 정.(지극한 효심)(反哺之孝)
烏合之卒(오합지졸) : 까마귀가 모인 것처럼 질서가 없이 모인 병졸.(임시로 모여들어서 규율이 없고 무질서한 병졸 또는 군중)(烏合之衆, 瓦合之卒)
屋烏之愛(옥오지애) : 그 사람을 사랑하면 그의 집 지붕에 있는 까마귀까지도 사랑스럽게 보임.
屋下架屋(옥하가옥) : 지붕 아래에 또 지붕을 만듦.(先人들이 이루어 놓은 일을 후세의 사람들이 무익하게 거듭하여 발전한 바가 조금도 없음)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 새것을 앎.
外柔內剛(외유내강) : 겉으로는 부드럽고 순하게 보이나 속은 곧고 굳세.(內剛外柔)
要領不得(요령부득) : 말이나 글 또는 일 따위가 줄거리나 이치를 알 수가 없음.(不得要領)
樂山樂水(요산요수) : 山水의 자연을 즐기고 좋아함.
欲速不達(욕속부달) : 일을 빨리 하려고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함.(欲巧反拙)
欲取先予(욕취선여) : 얻고자 하려면 먼저 주어야 함.
龍頭蛇尾(용두사미) : 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처음은 왕성하나 끝이 부진한 현상)
龍門點額(용문점액) : 시험에 낙제함.(용문을 올라간 잉어는 용이 되고 그렇지 못한 것은 이마에 점이 찍혀서 돌아간다는 데서 유래.
龍尾鳳湯(용미봉탕) : 용 고기로 맛을 낸 요리와 봉새로 끓인 탕.(잘 차려진 음식)(膏粱珍味)
龍蛇飛騰(용사비등) : 용이 날아오르는 듯한 힘이 있는 筆力.
愚公移山(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김.(어리석은 일 같아도 끝까지 밀고 나가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말.(磨斧爲針, 積塵成山, 水滴穿石)
牛往馬往(우왕마왕) : 소 갈 데 말 갈 데 다 다님.(함부로 온갖 군데를 다 다님)
牛耳讀經(우이독경) : 소귀에 경 읽기.(둔한 사람은 아무리 알려주어도 못 알아들음)(馬耳東風, 牛耳誦經)
牛耳誦經(우이송경) : 소귀에 경 읽기.(둔한 사람은 아무리 알려주어도 못 알아들음)(馬耳東風, 牛耳讀經)
羽化登仙(우화등선) : 사람의 몸에 날개가 돋아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됨.
雲泥之差(운니지차) : 구름과 진흙의 차이.(서로 간의 차이가 매우 심함)(天壤之差, 天壤之間, 天壤之判, 天淵之差)
雲心月性(운심월성) : 구름과 같은 마음과 달 같은 성품.(맑고 깨끗하여 욕심이 없음)
雲雨之情(운우지정) : 男女의 情交.(楚나라의 襄王이 낮잠을 자다 꿈속에서 巫山의 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故事에서 由來)(雲雨之樂)
雲中白鶴(운중백학) : 구름 속을 나는 백학.(속됨을 벗어난 고상한 기질과 성품)
雲蒸龍變(운증용변) : 물이 증발하여 구름이 되고 뱀이 변하여 용이 되어 하늘로 오름.(영웅호걸이 기회를 얻어 일어남)
願乞終養(원걸종양) : 부모가 돌아가시는 날까지 봉양하기를 원함.(지극한 효성)(風樹之嘆,反哺之孝,)
圓孔方木(원공방목)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
遠交近攻(원교근공) :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함.
遠禍召福(원화소복) : 화를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임.
月明星稀(월명성희) : 달이 밝으면 별빛은 희미해짐.(새로운 영웅이 나타나면 다른 群雄의 존재는 희미해짐)
月態花容(월태화용) : 달처럼 고운 자태와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傾國之色)
月下老人(월화노인) : 부부의 인연을 맺어줌.(중애를 맺어줌)
月下氷人(월화빙인) : 晋나라 때 영고책이라는 사람이 얼음 밑에 있는 사람과 장시간 이야기를 주고 받은 꿈을 꾼 뒤 남녀의 결혼중매를 하게 되었다는 데서 유래.(月下老人)
危機一髮(위기일발) : 위험한 고비가 한 가닥 머리털 길이와 같이 여유가 조금도 없이 닥쳐옴.(累卵之危, 危如累卵, 危如一髮, 危如朝露)
威而不猛(위이불맹) : 위엄이 있으나 사납지는 아니함.
有口無言(유구무언) : 입은 있어도 할 말은 없음.(변명할 말이 없거나 변명을 못함)
柔能制剛(유능제강) : 부드러운 것이 오히려 능히 굳센 것을 이김.(有能勝剛)
柳綠花紅(유록화홍) : 초록빛 버들잎과 붉은 꽃.(봄의 자연 경치)
類萬不同(유만부동) : 비슷한 것이 아주 많으나 서로 같지는 아니함.(정도에 넘치거나 분수에 맞지 아니함)
流芳百世(유방백세) : 꽃다운 이름이 후세에 길이 전함.
有備無患(유비무환) : 미리 준비가 있으면 걱정할 것이 없음.(亡羊補牢)
流水不腐(유수불부) : 흐르는 물이 썩지 아니함.(늘 움직이는 것은 썩지 아니함)
唯我獨尊(유아독존) : 오직 나만이 귀함.(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냄)
有耶無耶(유야무야) : 있는 듯 없는 듯 흐지부지함.
悠悠自適(유유자적) : 한가하고 여유롭게 자기 가고 싶은 데 다니며 속박 없이 편안하게 삶.(悠然自適)
類類相從(유유상종) : 끼리끼리 서로 쫓음.(同病相憐, 東山高臥)
遺臭萬年(유취만년) : 더러운 이름을 후세에 오래도록 남김.
遊必有方(유필유방) : 집을 떠나 있을 때는 부모가 걱정하시지 않도록 반드시 있는 곳을 알려야 함.
六尺之孤(육척지고) : 週나라의 1尺은 二歲半에 해당함. 그러므로 6尺은 15세를 의미.(15세의 고아) (나이가 젊은 후계자)
隱居放言(은거방어) : 은거하며 살면서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털어놓음.
隱忍自重(은인자중) : 마음속에 감추고 참고 견디면서 몸가짐을 신중하게 행동함.
陰德陽報(음덕양보) : 남이 모르게 덕행을 쌓은 사람은 뒤에 그 보답을 받게 됨.
飮水思源(음수사원) : 물을 마실 때는 그 물의 근원을 생각함.(근본을 잊지 않음)
吟風弄月(음풍농월)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대상으로 시를 지어 읊고 흥취를 자아내며 즐겁게 놂.
意氣揚揚(의기양양) : 뜻한 바를 펼치려는 기운이 호응을 얻어 만족한 빛이 얼굴과 행동에 나타남.
異口同聲(이구동성) : 입은 다르나 목소리는 같음.(여러 사람의 말이 한결같음)(異口同音, 如出一口)
離群索居(이군삭거) : 벗들의 곁은 떠나 홀로 쓸쓸하게 지냄.
以德報怨(이덕보원) : 덕으로써 원수에 보답함.(원수에게 은덕을 베품)
以卵擊石(이란격석) : 달걀로 돌을 침.(아주 약한 것으로 강한 것에 대항 하려는 어리석음)(以卵投石)
二姓之樂(이성지락) : 남성과 여성의 즐거움.(琴瑟之樂)
耳視目聽(이시목청) : 소문을 듣고 직접 본 듯 상황을 알아차리고 표정을 보고 직접 설명을 들은 듯 상황을 알아차림.(사람의 눈치가 매우 빠름)
以食爲天(이식위천) : 백성들은 먹을거리를 하느님 삼음.(사람이 살아가는 데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함)
以實直告(이실직고) : 사실 그대로 고함.(以實告之, 從實直告)
以心傳心(이심전심) :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心心相印, 敎外別傳, 拈華微笑, 不立文字)
利用厚生(이용후생) : 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국민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經世致用, 經世濟民)
二律背反(이율배반) : 두 가지 규칙이 서로 등 돌리고 반대함.(상호 모순으로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명제)
以一警百(이일경백) : 한명을 벌하여 백명을 경계하게 됨.(一罰百戒)
以指測海(이지측해) : 손가락을 가지고 바다의 깊이를 잼.(자기 역량을 모르는 어리석음)(螳螂拒轍)
以血勢血(이혈세혈) : 피를 피로 씻음.(악을 악으로 갚거나 거듭 나쁜 짓을 함)(以熱治熱)
以火救火(이화구화) : 불로써 불을 끄려함.(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오히려 사태를 더욱 악화시킴)
益者三友(익자삼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심성이 곧은 사람,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
因果應報(인과응보) : 원인과 결과가 서로 호응하며 그대로 갚음.(因果報應, 種豆得豆, 自業自得)
人琴俱亡(인금구망) : 사람의 죽음을 몹시 슬퍼함.(晋나라의 왕헌지가 죽자 그가 쓰던 거문고도 소리를 내지 않았다는데서 유래)(人琴之歎)
人飢己飢(인기기기) : 남의 굶주림을 자기의 굶주림으로 여김.(己飢己溺)
人面獸心(인면수심) :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음.(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함)
人死留名(인사유명) :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김.(사람의 삶이 헛되지 아니하면 그 이름이 길이 남음) (虎死留皮, 豹死留皮)
人生無常(인생무상) : 사람의 삶은 덧없음.(生者必滅, 人生朝露)
人生三樂(인생삼락) : 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사람으로 태어난 것, 만자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
仁者無敵(인자무적) : 어진 사람은 모든 사람이 사랑하므로 세상에 적이 없음.
一角三秋(일각삼추) : 일각(15분, 아주 짧은 시간)이 삼 년 같음.(一刻千金)
一擧兩得(일거양득) :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一石二鳥, 一擧兩取, 一擧二得, 一擧兩實)
日久月深(일구월심) :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 짐.(세월이 흐를수록 더함)
一國三公(일국삼공) : 한 나라의 세임금.(많은 사람들이 저마다 구구한 의견을 제시함을 비유한 말.
一刀兩斷(일도양단) : 한 칼에 두 도막을 냄.(어떤 일을 머뭇거리지 아니하고 선뜻 결정함)(一刀割斷)
一連托生(일련탁생) : 죽은 뒤에도 함께 극락정토에서 같은 연꽃 위에 왕생함.(어떤 일의 선악이나 결과에 대한 예견에 관계없이 끝까지 행동과 운명을 함께 함)
一鳴驚人(일명경인) : 한번 시작하면 사람을 놀랠 정도의 대사업을 이룩함.(三年不飛)
日暮途遠(일모도원) :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멂.(늙고 쇠약하나 앞으로 해야 할 일은 많음)(日暮途窮)
一木難支(일목난지) : 큰 집이 무너지는 것을 나무 기둥 하나로 떠받치지 못함.(이미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一柱難支, 世說新語)
一無消息(일무소식) : 전혀 소식이 없음.(咸興差使)
一文不知(일문부지) : 한 글자도 알지 못함.(一字無識, 一字不識)
一文不通(일문불통) : 한 글자에도 통하지 못함.(目不識丁)
一飯千金(일반천금) : 조그만 은혜에 크게 보답함.(漢나라의 韓信이 빨래하는 노파에게서 한 끼의 밥을 얻어먹고 뒤에 천금으로 사례하여다는 데서 유래)
一罰百戒(일벌백계) :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함.(다른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하여 본보기로 한 사람에게 엄한 처벌을 하는 일)
一樹百穫(일수백확) :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봄.(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봄)
一魚濁水(일어탁수) : 한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림.(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러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됨)
一葉小船(일엽소선) : 물 위에 떠있는 잎사귀 하나처럼 작은 배.(一葉片舟)
一葉障目(일엽장목) : 잎사귀 하나로 눈을 가림.(부분적이고 일시적인 현상에 미혹되어 전반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를 깨닫지 못함)
一葉知秋(일엽지추) : 하나의 나뭇잎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앎.(조그만 일을 가지고 장차 올 일을 미리 짐작함)
一衣帶水(일의대수) : 한 옷의 띠로 잴 수 있을 만큼 한 줄기 좁은 강물이나 바닷물.(겨우 냇물 하나를 사이에 둔 가까운 이웃)(指呼之間, 咫尺之間)
一以貫之(일이관지) : 하나의 방법이나 태도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음.
一日三秋(일일삼추) : 하루가 삼년 같음.(몹시 애태우며 기다림)
一日之長(일일지장) : 하루 먼저 세상에 태어남.(나이가 조금 위임)(조금 나음, 또는 그런선배)
一日千里(일일천리) : 하루에 천리를 달림.(매우 빨리 달림)(발전하는 속도가 빠름)
一字千金(일자천금) :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음.(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一字百金)
一長一短(일장일단) : 일면의 장점과 일면의 단점을 통틀어 이름.(一短一長)
一場春夢(일장춘몽) : 한바탕의 봄꿈.(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
一朝一夕(일조일석) : “하루아침이나 하루저녁”이라는 뜻.(짧은 하루)
日進月步(일진월보) : 날마다 앞서고 달마다 앞으로 걸어감.(刮目相對, 日就月將)
一觸卽發(일촉즉발) : 한번 건드리면 바로 폭발함.(몹시 위태로운 상태)(危機一髮, 風前燈火, 累卵之危)
日就月將(일취월장) : 날마다 자라고 달마다 발전함.(刮目相對, 日進月步)
一敗塗地(일패도지) : 싸움에 한번 패하여 간과 뇌가 땅바닥에 으깨어짐.(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름)
一片丹心(일편단심) : 한 조각의 붉은 마음.(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아니하는 마음)
一筆揮之(일필휘지) : 글씨를 단번에 죽 내리 씀.
臨機應變(임기응변) : 그때그때 처한 사태에 맞추어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하거나 처리함. (臨時方便, 臨時防牌, 臨時排布, 臨時應變, 臨時處變)
臨農奪耕(임농탈경) : 농사지을 시기에 이르러 경작자를 바꿈.(남이 이미 다 마련하여 놓은 것을 가로챔)
任人唯賢(임인유현) : 오직 인품과 능력만을 보고 사람을 임용함.
立身揚名(입신양명) : 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림.
立身出世(입신출세) : 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림.

(자)
自强不息(자강불식) : 스스로 힘써 몸과 마음을 가다듬어 쉬지 아니함.
自激之心(자격지심) :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스스로 미흡하게 여기는 마음.(自愧之心)
自手削髮(자수삭발) : 자기 손으로 자신의 머리털을 깎음.(어려운 일을 남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기 혼자의 힘으로 감당함)
自勝自强(자승자강) : 진실로 강한 자는 자신을 이기는 자.(자신을 이기는 것은 자기의 사리사욕을 극복 하는 것.
自業自得(자업자득) : 자기가 저지를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음.(自作自受, 自業自縛, 因果應報, 種豆得豆)
自中之亂(자중지란) : 같은 편끼리 싸움.(蕭墻之變, 內訌)
自暴自棄(자포자기) : 절망에 빠져 자신에게 사납고 굴고 스스로를 돌보지 아니함.
自?自讚(자화자찬) : 자기가 그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함.(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자랑함)
作心三日(작심삼일) : 단단히 먹을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함.(결심이 굳지 못함)
長夜之飮(장야지음) : 밤새도록 술을 마심. 또는 밤새도록 마시는 술
莊周之夢(장주지몽) ; 장주가 나비가 되는 꿈을 꾸었는데 꿈이 깬 뒤에 자기가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자기가 된 것인지 분간이 가지 않았다는 이야기로 “자아와 외계와의 구별을 잊어 버린 경지“를 이리는 말(胡蝶之夢)
爭先恐後(쟁선공후) : 앞을 다투고 뒤처지는 것을 두려워함.(격렬한 전쟁)
低首下心(저수하심) ; 머리를 낮추고 마음을 아래로 향하게 함.(머리 숙여 복종함)
積小成大(적소성대) : 작은 것을 쌓아 큰 것을 이룸.(積塵成山, 積土成山,積水成淵, 愚公移山)
赤手空拳(적수공권) : 맨손과 맨주먹.(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음)(隻手空拳)
適時適地(적시적지) : 알맞은 시기와 장소.
電光石火(전광석화) : 번갯불과 부싯돌의 불.(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움직임 따위)
前代未聞(전대미문) : 이제까지 들어본 적이 없음.(前古未聞, 空前絶後, 未曾有, 破天荒)
前無後無(전무후무) :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空前絶後)
田夫之功(전부지공) : 농부의 공덕.(犬兎之爭)
前人未踏)전인미답) : 이제까지 그 누구도 밟아보지 못한 곳.(이제까지 그 누구도 손을 대어 본 일이 없음)
轉禍爲福(전화위복) :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反禍爲福, 禍轉爲福, 塞翁之馬)
絶世佳人(절세가인) : 세상에 끊어진 미인.(傾國之色)
絶長補短(절장보단) : 긴 것을 잘라서 짧은 것을 보충함.
切齒腐心(절치부심) :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臥薪嘗膽)
漸入佳境(점입가경) : 들어 갈수록 점점 경치가 좋음.
點鐵成金(점철성금) : 쇠를 달구어 황금을 만듦.(나쁜 것을 고쳐서 좋은 것을 만듦)
頂門一針(정문일침) : 정수리에 침을 놓음.(따끔한 충고나 교훈)(忠言逆耳)
程門立雪(정문입설) : 제자가 스승을 극진히 섬김.
朝令暮改(조령모개) : 아침에 명령을 내렸다가 저녁에 다시 고침.(법령을 자꾸 고쳐서 갈피를 잡기가 어려움)(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일관성이 없이 자주 고침)(朝改暮變, 朝變暮改)
朝變夕改(조변석개) : 아침에 고친 것을 저녁에 또 고침.(법령을 자꾸 고쳐서 갈피를 잡기가 어려움)(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일관성이 없이 자주 고침)(朝令夕改)
朝名市利(조명시리) : 명예는 시장에서 다투고 이익은 시장에서 다툼.(무슨 일이든 알맞은 곳에서 하여야 함)
朝不慮夕(조불려석) : 형세가 절박하여 아침에 저녁 일을 헤아리지 못함.(당장을 걱정할 뿐이고 앞일을 생각할 겨를이 없음)
朝三暮四(조삼모사) :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宋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 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
朝雲暮雨(조운모우) :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됨.(남녀 간의 애정이 깊음)(巫山之夢)
鳥足之血(조족지혈) : 새 발의 피.(매우 적은 분량)(九牛一毛, 漢江投石)
足脫不及(족탈불급) : 맨발로 뛰어도 따라가지 못함.(능력.역량.재질 따위가 두드러져 도저히 다른 사람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임)
存亡之秋(존망지추) : 존속과 멸망, 또는 생존과 사망이 결정되는 아주 절박한 경우나 시기.
種豆得豆(종두득두) : 콩을 심으면 반드시 콩이 나옴.(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因果應報)
終無消息(종무소식) ; 끝내 아무 소식이 없음.(咸興差使)
坐不安席(좌불안석) : 앉아도 자리가 편하지 않음.(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 못하는 모양)
坐井觀天(좌정관천) :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봄.(사람의 견문이 매우 좁음)(井中之蛙)
左之右之(좌지우지) : 이리저리 제 마음대로 휘두르거나 다룸.
左衝右突(좌충우돌) : 이리저리 마구 찌르고 부딪침.
晝耕夜讀(주경야독) :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음.(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 (晴耕雨讀, 螢雪之功, 螢窓雪案)
走馬看山(주마간산) :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함.(자세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
朱脣白齒(주순백치) : 붉은 입술에 하얀 이.(예쁜 여인을 말함)(丹脣皓齒, 傾國之色)
晝夜長川(주야장천) : 밤낮을 쉬지 아니하고 계속.
晝而繼夜(주이계야) : 낮에 하던 일을 이어 밤에도 함.(不撤晝夜, 晝夜長川)
舟中敵國(주중적국) : 자기 배 안에 적국이 있음.(군주가 덕을 닦지 아니하면 자기편일지라도 모두 곧 적이 될 수 있음)
酒池肉林(주지육림) : 술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룸.(호사스러운 술잔치)(肉山脯林)
竹馬故友(죽마고우) : 대마무로 만든 말을 오랜 벗.(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竹馬交友, 竹馬舊友 竹馬之友)
衆寡不敵(중과부적) : 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함.
衆口難防(중구난방) : 뭇사람의 말을 막기가 어려움.(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구 지껄임)
衆心成城(중심성성) : 여러 사람의 마음이 성을 이룸.(여러 사람의 마음이 하나로 단결하면 성처럼 굳어짐)
重言復言(중언부언) : 이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 함)
中原逐鹿(중원축록) : 서로 경쟁하여 어떤 지위를 얻고자 하는 일.(群雄이 천하 “중원”에서 제왕 “사슴”의 지위를 얻으려고 다투는 일)
衆人環視(중인환시) : 여러 사람이 둘러싸고 지켜봄.(衆目環視)
知己之友(지기지우) : 자기를 알아주는 벗.(管鮑之交)
知難而退(지난이퇴) : 형세가 불리한 것을 알면 물러서야 함.
指鹿爲馬(지록위마) :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 남을 속이려는 짓)
支離滅裂(지리멸렬) : 흩어지고 찢기어 갈피를 잡을 수 없음.
知命之年(지명지년) : 나이 50을 말함.( 50세에 天命을 알았다는 데서 유래)
紙上兵談(지상병담) : 종이 위에서 펼치는 용병의 이야기.(卓上空論, 猫項懸鈴)
智者一失(지자일실) : 슬기로운 사람도 많은 생각 중에는 간혹 실수가 있음.(千慮一失)
知足不辱(지족불욕) : 분수를 지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욕되지 아니함.
指呼之間(지호지간) : 손짓하여 부를 만큼 가까운 거리.一衣帶水, 咫尺之間)
織錦回文(직금회문) : 구성이 절묘한 훌륭한 문학작품.(두도(竇滔)의 아내인 소혜(蘇蕙)라는 여인이 만든 선기도(璇璣圖)에는 모두 840자가 새겨져 있는데, 이들을 종횡, 상하, 좌우 등등 어떻게 읽어도 모두 훌륭한 시(回文詩)가 되었다는데서 유래.)
盡善盡美(진선진미) :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고 아름다움.(완전무결함.)(盡善完美)
進退兩難(진퇴양난)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進退維谷, 進退無路.)
懲一勵百(징일여백) : 한 사람을 벌하여 백사람을 격동시킴.(一罰百戒)

(차)
此日彼日(차일피일) : 이날 저 날.(자꾸 기한을 미루는 모양.)(此月彼月)
借廳入室(차청입실) : 대청을 빌려 쓰다가 점점 안방까지 들어감.(처음에는 남에게 의지하다가 점차 그의 권리까지 침범함)(借廳借閨)
創業守成(창업수성) : 나라(왕조)를 세우는 것과 나라(왕조)를 지키는 것.
妻城子獄(처성자옥)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수 없음.)
天高馬肥(천고마비) :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찜.(하늘이 맑고 모든 것이 풍성함.)(秋高馬肥)
千年一淸(천년일청) : 천 년에 한 번 맑아짐.(가능하지 아니한 일을 바람.)(百年河淸)
天道是非(천도시비) : 하늘의 도는 옳은 지 그른 지 알 수 없음.(漢武帝 때 匈奴의 포로가 된 李陵을 司馬遷이 홀로 비호하다가 宮刑을 당하였는데, 뒤에 사마천은 伯夷叔齊는 仁과 德을 쌓았으나 굶어 죽었고, 顔回는 학문을 좋아하였으나 쌀겨도 배불리 못 먹고 夭折하였지만, 도척(盜?)은 사람을 죽이는 등 포악 방자하였지만 천수를 누렸다고 하면서 선현에 자신의 처지를 빗대 천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데서 유래.
千慮一得(천려일득) : 천 번을 생각하여 하나를 얻음.(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면 그 과정에서 한 가지쯤은 좋은 것이 나올 수 있음.)
千慮一失(천려일실) : 천 번 생각에 한 번 실수.(슬기로운 사람이라도 여러 가지 생각 가운데에는 잘못되는 것이 있을 수 있음.)(智者一失)
天方地方(천방지방) : 하늘 방향이 어디이고 땅의 방향이 어디인지 모름.(마음이 조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天方地軸과 함께 한국 속담이 漢譯된 것)(원래 속담이 무엇인지는 확실치 않음)(天方地軸)
千歲一時(천세일시) : 천년에 한 번 올까 말까한 한 번의 때.
千紫萬紅(천자만홍)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 꽃의 빛깔, 또는 그런 빛깔의 꽃.(萬紫千紅)
千載一遇(천재일우) : 천 년에 단 한 번 만남.(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千歲一時, 千載一時)
天井不知(천정부지) : 천장(天井)을 알지 못함.(하늘 높은 줄 모름.)(물가 따위가 한없이 오르기만 함)
千篇一律(천편일률) : 수많은 글이 모두 하나의 법칙 내지는 특성을 나타냄.(여럿이 개별적 특성이 없이 모두 엇비슷한 현상.)(여러 시문의 격조(格調)가 모두 비슷하여 개별적 특성이 없음) (一律千篇)
天下一色(천하일색) : 세상에 하나뿐인 미모.(傾國之色)
天下絶色(천하절색) : 세상에 끊어진 미모.(傾國之色)
徹頭徹尾(철두철미) : 처음부터 끝까지 빈틈이 없음.(徹上徹下)
徹天之恨(철천지한) : 하늘에 사무치는 크나큰 원한.(徹天之寃)
晴耕雨犢(청경우독) :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음.(부지런히 일하며 공부함.)
淸貧樂道(청빈낙도) : 청렴결백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기고 즐김.
靑雲之志(청운지지) : 큰 뜻을 펼치기 위하여 벼슬길에 오르고자 하는 뜻.(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욕망.) (陵雲之志)
靑天白日(청천백일) : 하늘이 맑게 갠 대낮.(맑은 하늘에 뜬 해.)(혐의나 원죄(?罪)가 풀리어 무죄가 됨)
淸風明月(청풍명월) : 맑은 바람과 밝은 달.
草綠同色(초록동색) : 풀색과 녹색은 같은 색.(같은 처지나 경우의 사람들끼리 어울려 행동함.)
招搖過市(초요과시) : 호령하고, 수레 소리 요란하게 울리면서 거들먹거리며 저자거리를 지남.(요란하게 자랑하고 다님.)
寸鐵殺人(촌철살인) : 한 치의 쇠붙이로 사람을 죽임.(간단한 말로도 남을 감동시키거나 남의 약점을 찌름.)
追友江南(추우강남) : 친구 따라 강남에 감.(자기주장이 없는 행동.)(附和雷同)
推舟於陸(추주어륙) : 뭍으로 배를 밀려고 함.(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억지를 씀.)(牽强附會)
秋風落葉(추풍낙엽) :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어떤 형세나 세력이 갑자기 기울어지거나 헤어져 흩어지는 모양.)
秋毫之末(추호지말) : 가을의 짐승 털의 끝.(아주작음, 아주적음.)(鳥足之血, 九牛一毛, 漢江投石)
春秋筆法(춘추필법) : 춘추의 기록 방법.(공자가 엮은 춘추(春秋)와 같이 역사사건에 대한 비판적이고 엄정한 필법.)(대의명분을 밝히어 세우는 역사 서술 방법)
出奇制勝(출기제승) : 기묘한 계략(計略)을 써서 승리함.
出沒無雙(출몰무쌍) : 나타났다 없어졌다 하는 것이 비길 데 없을 만큼 심함.
出將入相(출장입상) :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됨.(문무를 다 갖추어 장상(將相)의 벼슬을 모두 지냄.)
忠言逆耳(충언역이) : 충직한 말은 귀에 거슬림.
醉生夢死(취생몽사) : 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속에 살고 죽음.(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 멍덩 하게 살아감.
置之度外(치지도외) : 법도 외의 것으로 상관하지 아니하고 내버려 둠
七去之惡(칠거지악)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1.시부모를 잘 모시지 않는 것, 2.無子息, 3.不貞, 4.질투, 5.못된 병, 6.수다, 7.절도, )
七零八落(칠령팔락) : 사물이 가지런하게 고르지 못함.(제각기 뿔뿔이 흩어지거나 이리저리 없어짐) (七落八落)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 시를 지을 만한 재주.(아주 뛰어난 글재주)(七步成詩)
沈魚落雁(침어낙안) : 미인을 보고 물 위에서 놀던 물고기가 부끄러워서 물속 깊이 숨고 하늘 높이 날던 기러기가 부끄러워서 땅으로 떨어졌다는데서 유래.(傾國之色)
快刀亂麻(쾌도난마) : 잘 드는 칼로 마구 헝클어진 삼 가닥을 자름.(어지럽게 뒤얽힌 사물을 강력한 힘으로 명쾌하게 처리함.

(타)
他山之石(타산지석) : 다른 산의 쓸모없는 돌일지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는 쓸 수 있음.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도 자기의 智德을 닦는데 도움이 됨)
他尙何說(타상하설) : 다른 무엇을 어찌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 (한 가지를 보면 다른 것을 보지 않아도 헤아릴 수 있음)
打草驚蛇(타초경사) ; 풀을 두들겨서 뱀 을 놀라게 함.(불필요하게 상대방을 자극함).
卓上空論(탁상공론) : 현실성이 없는 허황된 이론이나 논의.(猫項懸鈴, 机上空論)
脫兎之勢(탈토지세) : 우리를 빠져나가 달아나는 토끼의 기세.(매우 빠르고 날랜 시세)
貪官汚吏(탐관오리) : 백성의 재물을 탐내어 빼앗는, 행실이 깨끗하지 못한 관리.
貪欲無藝(탐욕무예) : 뇌물을 탐함에 끝이 없음.(貪賂無藝)
貪天之功(탐천지공) : 하늘의 공을 탐함.(남의 공을 도용함)
太剛則折(태강즉절) : 너무 굳거나 빳빳하면 꺾어지기가 쉬움.
太史之簡(태사지간) : 歷史 따위의 事實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씀.(董狐之筆)
泰山北斗(태산북두) : 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
泰山壓卵(태산압란) : 큰 산이 알을 누름.(큰 위세와 위엄)(아주 쉬움)
太平聖代(태평성대) :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태평한 세상이나 시대.(道不拾遺)
太平烟月(태평연월) : 밥 짓는 연기가 은은한 달빛이 어리는 크게 평화로운 풍경의 세월. (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세월)

(파)
破鏡重圓(파경중원) : 반으로 깨어졌던 거울이 합쳐져 다시 둥그런 본래의 거울의 모습으로 돌아옴. (생이별한 부부가 다시 만남)
破鏡之歎(파경지탄) : 깨어진 거울 조각을 들고 하는 탄식.(부부의 이병을 서러워하는 탄식)(破綻)
破邪顯正(파사현정) : 부처의 가르침에 어그러지는 사악한 생각을 깨뜨리고 올바른 도리를 뚜렷이 나타냄.
破顔大笑(파안대소) : 매우 즐거운 표정으로 활짝 웃움.(破顔一笑, 抱腹絶倒)
破竹之勢(파죽지세) : 대를 쪼개는 기세.(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들어가는 기세)(?原之火, 騎虎之勢)
八方美人(팔방미인) : 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사람.(여러 방면에 능통한 사람)
廢寢忘食(폐침망식) : 잠을 안자고 박 먹는 것도 잊음.(매우 열심히 공부함)
抱腹絶倒(포복절도) : 배를 끌어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捧腹絶倒, 破顔大笑)
布衣之交(포의지교) : 베옷을 입고 다닐 때의 사귐.(벼슬을 하기 전 선비 시절의 사귐)
捕丁解牛(포정해우) : 기술이 매우 뛰어남.(고대의 이름난 요리사 포정이 소 몸의 생김대로 자연스럽게 칼질하여 소의 살과 뼈를 다치지 않는 것은 물론 칼날에도 손상이 안가도록 소를 잘 잡았다는 데서 유래)
表裏不同(표리부동) : 겉과 속이 다름.(마음이 음흉하고 불량함)
風樹之嘆(풍수지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픔.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父待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부모님은 기다려 주시지 (風木之悲, 風樹之感) 않네)
風雲之會(풍운지회) : 용이 바람과 구름을 얻어서 기운을 얻음.(총명한 임금과 어진 신하가 서로 만남) (영웅호걸이 때를 만나 뜻을 이룰 수 있는 좋은 기회)
風前燈火(풍전등화) : 바람 앞의 등불.(아주 위태로운 상황)(風前燈燭, 風前燭火, 累卵之危)
匹夫之勇(필부지용) :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소인의 용기.(螳螂拒轍)
必有曲折(필유곡절) ;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
必有事端(필유사단) :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

(하)
下石上臺(하석상대) : 아랫돌을 빼서 윗돌 괴고 윗돌을 빼서 아랫돌 굄.(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 (苦肉之計)
下愚不移(하우불이) : 아주 어리석고 못난 사람의 기질은 변하지 않음.
下學上達(하학상달) : 아래를 배워 위에 도달함.(쉬운 지식을 배워 어려운 이치를 깨달음)
鶴首苦待(학수고대) :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學如不及(학여불급) : 배움은 모자란 듯이 여김.(배움의 길은 끝이 없으므로 자만하지 말고 끊임없이 학문에 정진하여야 함)
學而知之(학이지지) : 배워서 앎에 이름.
漢江投石(한강투석) : 한강에 돌 던지기.(지나치게 미미하게 아무런 효과를 미치지 못함)(鳥足之血, 九牛一毛)
割席分坐(할석분좌) : 자리를 갈라서 따로 앉음.(교제를 끊고 같은 자리에 앉지 아니함)
咸興差使(함흥차사) :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함.(朝鮮태조 이성계가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에 있을 때 태종이 보낸 차사를 죽이거나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아니하였던 데서 유래)
合縱連衡(합종연횡) : 힘없는 작은 나라들이 단결하여 강한 나라에 대항함.
合浦珠還(합포주환) : 잃었던 것을 찾거나 떠난 것이 돌아옴.(合浦郡은 진주조개로 유명하였으나 탐관오리들이 지나치게 많은 진주를 캐내는 바람에 자취를 감추었다가 맹상이 불법행위를 엄단하고 진주조개의 생산과 보호를 장려하자 합포 바다에 다시 진주조개가 나타났다는 데서 유래.
恒茶飯事(항다반사) : 밥 먹고 차 마시는 것처럼 늘 있는 일.
海衣推食(해의추식) : 자기 옷을 벗어주고 먹을 것을 건네줌.(다른 사람을 따뜻하게 배려함)
行不由徑(행불유경) : 길을 가는데 지름길이나 뒤안길로 가지 않고 큰길로 감.(행동을 공명정대하게 함.
幸災不仁(행재불인) : 남의 재난을 다행으로 여기는 것은 어질지 못함.
虛無孟浪(허무맹랑) : 터무니없이 거짓되고 실속이 없음.
虛張聲勢(허장성세) :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림.
軒軒丈夫(헌헌장부) : 외모가 준수하여 풍채가 당당한 남자.
懸河口辯(현하구변) : 경사가 급하여 위에서 아래로 쏜살같이 흐르는 강과 같은 말.(거침없이 유창하게 엮어 내려가는 말)(懸河之辯, 懸河雄辯)
螢雪之功(형설지공) : 반딧불과 눈을 이용한 공부.(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함)(晋나라 차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 손강이 겨울밤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螢窓雪案, 車胤聚螢, 孫康映雪)
虎溪三笑(호계삼소) : 東洋? ?題의 하나.(학문이나 예술에 열중함)(중국 晋나라의 혜원 법사가 廬山의 동림사에 은거하면서 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을 배웅할 때 이야기에 도취해 무심코 건너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데서 유래)
虎口餘生(호구여생) :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겪고 겨우 살아남은 목숨.(宋나라 때 湖州에 사는 朱泰라는 사람이 호랑이에게 물려가다 겨우 살았다는 데서 유래.
胡馬望北(호마망북) : 북쪽오랑캐의 말이 북쪽을 바라봄.(고향을 그리워 함)(首丘初心)
浩然之氣(호연지기) :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虎曰百萬(호왈백만) : 실상은 얼마 되지 아니한 것을 많은 것처럼 과장하여 말함.(針小棒大)
好衣好食(호의호식) : 좋은 옷 입고 입고 좋은 음식을 먹음.
胡蝶之夢(호접지몽) : 나비의 꿈.(장자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꿈속에서 장자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데서 유래)
昏定晨省(혼정신성) :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여쭘.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
忽然忽沒(홀연홀몰) : 문득 나타났다 문득 없어짐.
紅爐點雪(홍로점설) : 빨갛게 달아오른 화로 위에 약간의 눈.(큰일을 함에 있어 작은 힘으로는 아무 도움이 되지 아니함)(사욕이나 의혹이 일시에 꺼져 없어짐)
?蛇添足(화사첨족) : 뱀을 다 그리고 나서 잇지도 아니한 발을 덧붙여 그려 넣음.(쓸데없는 군짓을 하여 도리어 잘못되게 함.(欲巧反拙)
花容月態(화용월태) :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과 달처럼 고운 자태.(경국지색)
華而不實(화이부실) : 꽃은 피었으나 열매가 없음.(가식과 허영이 지나지 않음)
花朝月夕(화조월석) :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경치가 좋은 시절)
?虎不成(화호불성) : 범을 그리다가 이루지 못함.(刻鵠類鶩)
?虎類狗(화호유구) : 범을 그리다가 개를 그림.(부족한 자질을 큰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일을 그르침)
黃口小兒(황구소아) : 부리가 누런 새 새끼같이 어린아이.(철없이 미숙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口尙乳臭)
黃口幼兒(황구유아) : 부리가 누런 새 새끼같이 어린아이.(철없이 미숙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口尙乳臭)
黃口乳臭(황구유취) : 부리가 누런 새 새끼같이 어린아이.(철없이 미숙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口尙乳臭)
會者定離(회자정리) : 만난 자는 반드시 헤어짐.(모든 것이 무상함)
後起之秀(후기지수) : 후배 중에 우수한 인물.
後生可畏(후생가외) : 장래성 있는 후배는 두려워 할 만함. (“후배들은 두려워할 만하다. 장래에 그들이 지금의 우리만 못하리라는 것을 어찌 알 수 있겠는가. 그러나 40세, 50세가 되어도 세상에 이름이 나지 않는다면 두려워할 바 없다.” 라고 한 孔子 말씀 에서 유래)
厚顔無恥(후안무치) : 낯가죽이 두꺼워서 뻔뻔스럽고 부끄러움이 없음.
胸有成竹(흉유성죽) : 대나무 그림을 그리기 이전에 마음속에 이미 완성된 대나무 그림이 있음. (일을 처리함에 있어 미리 계산이 모두 서 있음)
興亡盛衰(흥망성쇠) : 흥성하고 멸망함과 번성하고 쇠퇴함.
興盡悲來(흥진비래) :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닥쳐 옴.(세상일은 순환되는 것임)

Appearance, Polish proverb


A hippo does not have a sting in its tail, but a wise man would still rather be sat on by a bee.

- Polish proverb

하마는 꼬리에 침이 없습니다. 하지만 현명한 사람은 여전히 벌 옆에 앉는 것을 선호합니다.

- 폴란드속담

5/29/2015

Appearance, John Weitz


Even overweight cats instinctively know the cardinal rule: when fat, arrange yourself in slim poses.

- John Weitz (1923-2002), American Designer

뚱뚱한 고양이 조차도 날씬한 포즈를 잡는 기본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살이 찌면, 날씬해 보이는 자세를 취하십시오.

- 존 웨이츠

5/28/2015

Appearance, Anita Wise


Guys are lucky because they get to grow mustaches. I wish I could. It's like having a little pet for your face.

- Anita Wise

남자들은 운이 좋습니다. 그들은 콧수염을 기르기 때문이죠. 저도 기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콧수염은 작은 애완동물을 얼굴에 기르고 있는 것 같으니까요.

- 아니타 와이즈

5/27/2015

Love, Magnus Hirschfield


Love is only the game that is not called on account of darkness.

- Magnus Hirschfield (1868-1935)

사랑은 단지 어둡다고 중단되지 않는 게임입니다.

- 매그너스 허쉬필드

5/26/2015

Love, Helen Hayes


The truth [is] that there is only one terminal dignity — love. And the story of love is not important — what is important is that one is capable of love. It is perhaps the only glimpse we are permitted of eternity.

- Helen Hayes, Guideposts (January 1960)

진실은 단지 하나의 최종적인 존엄성이 있습니다. 그것은 사랑입니다. 사랑의 이야기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사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아마도 우리가 영원이 허락된 짧은 시간일 겁니다.

- 헬렌 헤이즈 (Helen Hayes | Helen Hayes Brown) 영화배우

5/25/2015

Sports, Bill Shankly


Some people think football is a matter of life and death. I don't like that attitude. I can assure them it is much more serious than that.

- Bill Shankly

어떤 이들은 축구를 삶과 죽음의 문제로 생각합니다. 난 그런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난 축구가 삶과 죽음의 문제 그 이상이라고 확신합니다.

- 빌 샹클리

5/24/2015

Attitudes, Thomas D. Willhite


Just because you are seventy is no excuse to give up and let others make your decisions for you. The fact that you are still alive is reason enough to believe that you are here for a purpose; and that purpose is to learn, to teach, and to GIVE.

~ Thomas D. Willhite

당신이 칠순이라는 것은 당신이 포기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위한 결정을 대신 내려주기를 바라는 변명이 될 수 없습니다. 당신이 여전히 살아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당신이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여기 있다는 것을 믿게 하는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 그 목적은 배우고, 가르치고, 주는 것입니다.

- 토마스 딜하이트

5/23/2015

Mysteriousness, Albert Einstein


The most beautiful thing we can experience is the mysterious. It is the source of all true art and science.

- Albert Einstein (1879-1955)

우리가 겪을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체험은 신비입니다. 신비는 모든 참 예술과 과학의 근원입니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

5/22/2015

Science, Thomas H. Huxley


The great tragedy of Science - the slaying of a beautiful hypothesis by an ugly fact.

- Thomas Henry Huxley (1825-1895)

과학의 가장 큰 비극은 바로 추악한 사실로 아름다운 가설을 죽이는 것입니다.

- 토마스 헉슬리

5/21/2015

Friend, Georgia O'Keeffe


Nobody sees a flower - really - it is so small it takes time - we haven't time - and to see takes time, like to have a friend takes time.

- Georgia O'Keeffe

아무도 꽃을 보지 않습니다. 정말입니다. 너무 작아서 알아보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겐 시간이 없고, 무언가를 보려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친구를 사귀는 것처럼.

- 조지아 오키프

5/20/2015

Happiness, George Orwell


Men can only be happy when they do not assume that the object of life is happiness.

- George Orwell (1903-1950)

인간은 인생의 목표가 행복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때 비로소 행복할 수 있다.

- 조지 오웰

5/19/2015

Gentleman, Western proverb


Manners and money make a gentleman.

- Western proverb

매너와 돈이 신사를 만든다.

- 서양속담

5/18/2015

Money, Western proverb


Money is like an eel in the hand.

- Western proverb

돈은 손 안의 장어와 같다.

- 서양속담

5/17/2015

Money, George Bernard Shaw


Lack of money is the root of all evil.

- George Bernard Shaw (1856–1950)

돈이 없는 것은 모든 악의 근원입니다.

- 조지 버나드 쇼

5/16/2015

Money, Western proverb


Money ruins many.

- Western proverb

돈은 많은 사람을 황폐하게 만든다.

- 서양속담

5/15/2015

The Rewards of Wisdom, Sirach 4,19


THE REWARDS OF WISDOM

But if they turn away from me, I will abandon them and deliver them over to robbers.

- Sirach 4,19

http://www.usccb.org/bible/sirach/4

교육자의 지혜

그가 탈선하면 지혜는 그를 버리고, 그를 파멸의 손아귀에 넘기리라.

▥ 집회서의 말씀 4, 19

http://info.catholic.or.kr/

5/14/2015

The Rewards of Wisdom, Sirach 4,17-18


THE REWARDS OF WISDOM

I will walk with them in disguise, and at first I will test them with trials. Fear and dread I will bring upon them and I will discipline them with my constraints. When their hearts are fully with me, then I will set them again on the straight path and reveal my secrets to them.

- Sirach 4,17-18

http://www.usccb.org/bible/sirach/4

교육자의 지혜

지혜는 처음에 그와 더불어 가시밭길을 걷고, 그에게 두려움과 공포를 몰고 오리라. 지혜는 그를 신뢰할 때까지 자신의 규율로 그를 단련시키고, 자신의 바른 규범으로 그를 시험하리라. 그러고 나서 지혜는 곧 돌아와 그를 즐겁게 하고, 자신의 비밀을 보여 주리라.

▥ 집회서의 말씀 4, 17-18

5/13/2015

The Rewards of Wisdom, Sirach (4,16)


THE REWARDS OF WISDOM

If they remain faithful, they will possess me; their descendants too will inherit me.

- Sirach 4,16

http://www.usccb.org/bible/sirach/4

교육자의 지혜

그가 지혜를 신뢰하면 지혜를 상속받고, 그의 후손들도 지혜를 얻으리라.

▥ 집회서의 말씀 4,16

http://info.catholic.or.kr/

5/12/2015

Confidence, Dutch proverb


A drop of honey catches more flies than a barrel of vinegar.

- Dutch proverb

꿀 한방울이 한 통의 식초보다 더 많은 파리를 잡는다.

- 네덜란드속담

5/11/2015

Advice, German proverb


Less advice and more hands.

- German proverb

충고는 적게, 도움은 많이.

- 독일속담

5/10/2015

Language, Polish proverb


Words must be weighed, not counted.

- Polish proverb

말은 무게를 재야하는 것이지, 헤아리는 게 아니다.

- 폴란드속담

5/09/2015

Confidence, Chinese Proverb


酒香不怕巷子深。[jiǔ​xiāng​bù​pà​xiàng​zi​shēn]

- 中國俗談

Fragrant wine fears no dark alley.

- Chinese Proverb

Quality goods need no advertising.

cf. Good wine needs no bush. [Western Proverb]

술향기는 깊은 골목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 중국 속담

아름답고 향기 짙은 꽃에 벌 나비가 날아들듯 좋은 술의 향기는 사람을 부르게 마련입니다. 비록 깊은 골목에 숨어 있다해도 감미로운 술의 향기는 자연스레 사람들을 불러모읍니다. 사람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덕망이 있고 품이 너른 사람 곁엔 항상 사람들이 모여들게 마련이지요. 외롭다 탓하기 전에 부지런히 마음 수양을 하여 잘 익은 술처럼 향기로운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http://www.mdbg.net/

Son, Spencer Reid


"What was silent in the father speaks in the son, and often I found in the son the unveiled secret fo the father." Friedrich Nietzsche.

- Spencer Reid (played by Matthew Gray Gubler) [Criminal Minds 04x07 Memoriam]

http://cmbookendquotes.tumblr.com/post/20552827870/what-was-silent-in-the-father-speaks-in-the-son

"침묵은 아버지에게서 아들로 전해진 것이고 때때로 아들 안에서 아버지의 감춰진 비밀을 발견할 수 있다."

- 스펜서 리드

5/08/2015

Son, Friedrich Nietzsche


What was silent in the father speaks in the son, and often I found in the son the unveiled secret of the father.

- Friedrich Nietzsche (1844-1900)

침묵은 아버지에게서 아들로 전해진 것이고 때때로 아들 안에서 아버지의 감춰진 비밀을 발견할 수 있다.

- 프리드리히 니체

5/07/2015

Dreams, Spencer Reid


Bob Dylan once said, "I think the truly natural things are dreams, which nature can't touch with decay."

- Spencer Reid (played by Matthew Gray Gubler) [Criminal Minds 04x06 The Instincts]

http://www.criminalmindsfanwiki.com/page/Season+4+Quotes

밥 딜런은 말했다. "정말로 자연스러운 것은 '꿈'이라고 생각한다. 자연도 꿈은 썩히지 못할것이다."

- 스펜서 리드

5/06/2015

Dreams, Bob Dylan


I think the truly natural things are dreams, which nature can't touch with decay.

- Bob Dylan (1941- )

정말로 자연스러운 것은 '꿈'이라고 생각한다. 자연도 꿈은 썩히지 못할것이다.

- 밥 딜런

5/05/2015

Leader, Harry S. Truman


모든 리더(Leader)는 리더다(Reader)

모든 독서가(Reader)가 다 지도자(Leader)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모든 지도자는 반드시 독서가가 되어야 한다.

- 해리 트루먼(Harry S. Truman)

Not all readers are leaders, but all leaders must be readers.

- Harry S. Truman (1884–1972)

대부분의 리더는 호기심이 무척 강한 편이며 자기 성찰을 통해 능력을 계발합니다. 또한 리더는 평생 여러 방법을 통해 배우는 것을 멈추지 않습니다. 인류의 모든 지혜가 녹아 있는 책은 동서고금을 통틀어 최고의 스승입니다. 따라서 리더와 독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Most leaders have a strong sense of curiosity, and they develop and improve themselves through introspection. Furthermore leaders never stop learning new things in different ways. Books, which possess all of mankind’s wisdom, are the greatest teacher anyone can ever have; thus, leaders should never stop reading.


받은 글입니다.

Advice, Chinese Proverb


入乡随俗 [rùxiāngsuísú]

- 中國俗談

When you are in a village,do as the village does.

- Chinese Proverb

When you are in Rome,do as the Romans do.

그 고장에 가면 그 고장의 풍속을 따라야 한다. [入鄕隨俗(입향수속)]

- 중국속담(中國俗談)

入 들 입 | 鄕 시골 향 | 隨 따를 수 | 俗 풍속 속 |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라야 한다.

5/03/2015

Appearance, Oscar Wilde


Fashion is a form of ugliness so intolerable that we have to alter it every six months.

- Oscar Wilde (1854-1900)

패션은 참을 수 없을 만큼 추해서 반년마다 바꿔야만 하는 것이다.

- 오스카 와일드

5/02/2015

Appearance, Spencer Tracy


Not much meat on her, but what's there is choice.

- Spencer Tracy, about Katharine Hepburn

Not much meat on her, but what there is, is cherce.

그녀는 살이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있는 것은 최상입니다.

- 스펀세 트레이시

5/01/2015

Love, Louise Hay


Love is the great miracle cure. Loving ourselves works miracles in our lives.

- Louise Hay

사랑은 굉장한 기적의 치유입니다. 스스로를 사랑하는 것은 우리 삶에서 기적을 만듭니다.

- 루이스 헤이